논문 상세보기

딸기 수경재배 시 ‘베리스타’와 ‘죽향’의 생육과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양액농도 설정 KCI 등재

Optimum Nutrient Concentration to Improve Growth and Quality of Strawberry Cultivars ‘Berrystar’ and ‘Jukhyang’ in Hydropon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5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최근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신품종 ‘베리스타’와 ‘죽향’ 의 수경재배 시 생육 단계별 적정한 양액 농도가 품질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길이 40m, 폭 10m의 플라스틱 온실내에 높이 1m, 폭 33cm의 수경재배용 베드를 설치하고 원예용 상토를 충진한 후 ‘설향’, ‘베리스타’, ‘죽향’ 묘를 정식 하였다. 배양액은 네덜란드 PBG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생육 단계를 생육초기-개화기-수확초기-수확후기로 나누어 처리 2는 ‘설향’ 기준 급액 농도 EC 0.68-1.0-1.2- 1.0dS·m-1, 처리 1은 30% 낮은 농도인 EC 0.68-0.8- 0.85-0.7dS·m-1, 처리 3은 30% 높은 농도인 EC 0.68- 1.2-1.55-1.3dS·m-1으로 급액 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딸기 품종별 생육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베리스타’는 2번 처리구와 3번 처리구 간의 지상부 생육에 차이가 없었으며, ‘베리스타’와 ‘죽향’ 모두 양액 농도가 높을수록 엽색이 짙었으나 양자 효율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죽향’은 급액농도에 따라 3월 이후 생육 후기에 생육 차이가 뚜렷하였고, 3번 처리구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였다. ‘베리스타’와 ‘죽향’ 모두 과중, 과장, 과폭 및 과실 경도 가 3번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수확과의 총 당 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환원당 과 비환원당의 조성 비율은 처리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베리스타’는 급액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확과의 수가 많았으나 수량은 처리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죽향’은 급액농도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3번 처리구에서 가장 수확량이 많았다. 생육 특성과 과실 품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본 결과, ‘베리스타’는 ‘설향’ 표준 급액농도와 동일하게 EC 0.68- 1.0-1.2-1.0dS·m-1로 관리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죽향’은 ‘설향’ 기준 급액농도보다 30% 높은 EC 0.68-1.2-1.55- 1.3dS·m-1로 공급해 주는 것이 고품질의 과실을 많이 수확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the optimum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by growth stage for new strawberry cultivars ‘Berrystar’ and ‘Jukhyang’(Fragaria × ananassa Duch. cvs. ‘Berrystar’, ‘Jukhyang’) grown through hydroponics to improve the quality and yield. Three different EC levels were a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The treatment levels were 0.7, 1.0 and 1.3 times higher than the nutrient concentration standard for ‘Seolhyang’ based on the ‘Manual for strawberry cultivat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of ‘Berrystar’ by EC level. ‘Jukhyang’ showed the most vigorous growth grown in 1.3 times higher nutrient concentration. While the growth of ‘Berrystar’ and ‘Jukhyang’ grown in higher EC level has leaves with more chlorophyll concentration. However the quantum yield of leaves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On the treatment with 1.3 times higher EC level, the weight, length, width and firmness of ‘Berrystar’ and ’Jukhyang’ were significantly high. The sugar contents of the harvest analyzed by HPLC did not differed particularly, but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reducing sugar and non-reducing sugar were pres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reatments. Marketable fruit yield increased as nutrient concentration increases. However, there were no large differences by treatments. Meanwhile, ‘Jukhya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nutrient concentration and had the largest yield for a treatment grown in 1.3 times higher EC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the sam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level to the nutrient concentration standard of ‘Seolhyang’ for ‘Berrystar’, and the 1.3 times higher level for ‘Jukhyang’.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양액농도에 따른 생육 특성
  2. 딸기 과실의 품질 및 수량 조사
  3.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최수현(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Su Hyun Choi Corresponding author
  • 최경이(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Gyeong Lee Choi
  • 정호정(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Ho Jeong Jeong
  • 김승유(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Seung Yu Kim
  • 이성찬(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Technology Services Division, NIHHS, RDA) | Seong Chan Lee
  • 최효길(공주대 원예학과,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Hyo Gil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