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카민과 코치닐 추출물은 붉은 색을 띄는 색 소로, 주로 코치닐 곤충에서 유래하며 카민산이 주요 성 분으로 사탕, 어묵과 같이 널리 소비되는 식품에 일반적 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카민산은 특정 단백질과 관련된 알레르기 반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 구는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diode array detector (HPLC-DAD)와 C18 UG120 컬럼을 사용하 여 카민산을 정량시험법을 개발하고 밸리데이션을 수행하 였다. HPLC 최적 분석조건은 이동상 (A)물-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 0.1% 및 (B)아세토니트 릴-TFA 0.1%, 유속 1.0 mL/min, 컬럼온도 30oC에서 수행하 였으며, 검량선(0.2-50 mg/L) 범위에서 우수한 결정계수 (r2≥0.9999)를 보였다. 또한,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를 활용한 정성 분석을 통해 limit of detection (LOD) 0.05 mg/k, limit of quantification (LOQ) 0.15 mg/kg을 보였다. 또한, 일내 및 일간 밸리데이 션에서 정확도(87.3-97.1%, 회수율)와 정밀도(0.48-8.90%, 상대표준편차)이었으며, 측정 불확도 또한 추정하였다. 개 발된 분석법은 다양한 식품 유형에 적용 가능하며, 카민과 코치닐 추출물의 모니터링을 통해 카민산과 관련된 잠재적 인 문제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Ainsliaea acerifolia leaves are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s edible herbal materials in Korea, and research is underway to explore their potential in developing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ytical method using HPLC-DAD to quantify three key compounds—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and 1,5-dicaffeoylquinic acid—in A. acerifolia leaves extract. This method has been optimized and validated for specific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linear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for the calibration curves exceeded 0.9962.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0.3012 and 0.9128 μg/mL for chlorogenic acid, 0.1182 and 0.3582 μg/mL for isochlorogenic acid A, and 0.2342 and 0.7098 μg/mL for 1,5-dicaffeoylquinic acid, respectively. The net recovery rates for accuracy testing were 105.13% for chlorogenic acid, 105.37% for isochlorogenic acid A, and 100.37% for 1,5-dicaffeoylquinic acid. All parameters assessed with this newly developed method fe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s specified by ICH guidelin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is robust and reliable for accurately identifying and quantifying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and 1,5-dicaffeoylquinic acid in both routine analysis and large-scale extraction process of A. acerifolia leaves.
본 연구는 Diode Array Detector (DAD)가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산초나무 잎에 함유된 chlorogenic acid와 hesperidin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표준 정량법 개발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산초나무 잎의 chlorogenic acid와 hesperidin은 MS/MS 분석 및 표준물질과의 유지시간(RT), UV 흡광도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고, 산초나무 잎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개발한 분석방법은 지표물질을 대상으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검출한계, 정량한계, 선형성에 대해 최적화하고 검증하였다. HPLC 분석으로 두 화합물에 대한 검량선은 각각 0.99%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r2)를 보였다. Chlorogenic acid의 전체 회수율은 106.82%이었고, hesperidin의 전체 회수율은 107.37%였다. Chlorogenic acid의 검출한계(LOD)는 0.271μg/ml, Hesperidin의 검출한계(LOD)는 0.005μg/ml였다. Chlorogenic acid의 일간정밀도는 0.102% (RSD%), Hesperidin의 일간정밀도는 1.038% (RSD%)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HPLC-DAD 분석방법은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분석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법은 향후 산초나무 잎에서 유래한 생리활성물질의 대량추출 및 관련제품을 개발할 때 원료 표준화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Daemadeung, located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is formed by sand dunes and possesses well-developed intertidal fla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abitat of benthic microalgae, photosynthetic pigment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in the intertidal flats of Daemadeung from January to December 2011. The inorganic nitrogen content in the sediment pore water was primarily composed of ammonium, while nitrate+nitrite was dominant in the upper layer water.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and fucoxanthin in the sediment surfa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of all the sediment layer. The average Fv/Fm of benthic microalgae during the entire survey period was 0.52±0.03, with the highest value (0.61±0.08) observed in February. The rETRmax showed a seasonal trend, being high from spring to early autumn (April to October) and low from winter to early spring (January to March, November, December), with the highest value (153.05±2.30 μmol electrons m-2 s-1) in July and the lowest (38.49±5.17 μmol electrons m-2 s-1) in January. The average Fv/Fm of diurnal microalgae was 0.48±0.03, with the highest value (0.61±0.08) observed at noon. The rETRmax showed a highest peak at noon (54.24±11.35 μmol electrons m-2 s-1) and reached its lowest point at 16:00 (26.17±4.75 μmol electrons m-2 s-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ductivity of benthic microalgae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urvey time and sediment depth. Therefore, to quantify the productivity of benthic microalgae using Diving-PAM, survey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idal conditions, and simultaneous pigment analysis of sediment layers should also be performed.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표준 화된 시험법을 마련하여 다양한 제형의 제품에 적용하고 자 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해 초음파 처 리 시간, 산 가수분해 시간 및 농도를 검토하여 전처리 방 법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HPLC-UVD를 이용하여 시료 중 의 자일로올리고당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 1-phenyl-3- methyl-5-pyrazoline (PMP)으로 유도체화하고, photo diode array (PDA)가 장착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Nanospace SI-2)를 사용하였으며, 칼럼은 Cadenza C18 (4.6 × 250 mm, 3 μm)이었으며, 이동상은 pH를 6.0으 로 맞춘 20 mM 인산완충용액과 아세토니트릴을 78:22 비 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0.5 mL/min 유속으로 254 nm 로 하여 분석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등 시험법 마련 표준 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밸리데이션을 수행하고, 표준화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 대 상 품목에 대해 시험법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준화 된 시험법은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품질 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더 높일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그린커피빈추출물이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추가로 등재될 경우를 대비하여 표준화된 클 로로겐산 시험법을 설정하고, 카페인이 동시 분석되도록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을 마련 하기 위해 기기분석 및 전처리 조건을 비교·분석하여 클 로로겐산과 카페인을 30% 메탄올 추출하여 인산용액과 인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통해 330 nm, 280 nm에서 분석하도록 시험법을 설정하였다. 시 험법 밸리데이션 결과, 직선성 정량범위 내에서 상관계수 (R2) 0.999 이상의 유의수준을 보였고, 클로로겐산과 카페 인 검출한계는 0.5와 0.2 μg/mL, 정량한계는 1.4와 0.4 μg/ mL로 나타났다. 정밀도와 정확도 결과는 AOAC 밸리데 이션 가이드라인를 통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클로로겐 산 및 카페인 동시분석법을 최종적으로 마련하였다. 또한, 시제품과 유통제품을 통해 제형별 적용성 검토하여 클 로로겐산과 카페인을 동시에 정량 가능한 시험법임을 재확인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은 클로로겐산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더 높일 것으 로 본다.
본 연구는 패류 독소 중 기억상실성 독성을 유발하는 domoic acid의 분석법 개선, 검증 및 분석적용성을 살펴보 았다. SAX 카트리지 정제, 검체 및 추출용매 양의 변경 과 더불어 이동상을 용매구매 조건으로 변경시킨 분석법 은 지중해담치, 홍게 그리고 멸치의 세 가지 매트릭스를 대상으로 세 농도에 대하여 식품공전법과 비교하여 유효 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변경된 분석법은 LOD 0.02-0.03 mg/kg, LOQ 0.05-0.09 mg/kg, 일내 및 일간 정확도 86.2- 100.4%와 일내 및 일간 정밀도 0.2-4.0%로 CODEX가이 드라인을 만족하는 우수한 분석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변 경된 시험법에서는 domoic acid와 유사한 머무름 시간을 갖는 방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위양성 결과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본 분석법이 국내 유통 중인 수산물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식 품공전의 기억상실성 패독 분석법과 함께 수산물에 적용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종의 수산물 87건 중 공전시 험법으로 분석했을 때 domoic acid가 검출된 시료는 없었 으나 변경된 분석법을 통하여 멸치 1건에 대하여 0.14 mg/ kg의 domoic acid이 미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확립된 분석법은 수산물 중 domoic acid 분석에 활용 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식품첨가물 분석법에서 합으로써 분 석되는 락색소를 laccaic acid A, B, C, E 4가지 성분으로 분류하고 개별적으로 정량 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 다. Natural red 25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비슷한 laccaic acid A와 B를 1차적으로 분취한 후 2차로 A와 B를 분리 했다. 같은 방식으로 C와 D를 1차, 2차에 걸쳐 각각의 개 별 표준품으로 사용하였다. 락색소 불검출 시료 3가지 시료 (햄, 토마토 주스, 고추장)를 확보하여 0.05-107.2 μg/mL 범 위에서 결정계수(r2) 0.995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3 가지 시료에서 정밀도와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일내 정 밀도는 0.2-12.3%, 정확도는 90.6-112.7% 범위 내에서 확인 되었으며 일간 정밀도는 0.3-13.3%, 정확도는 90.3-113.0% 범위내로 확인 되었다. 락색소를 사용하는 식품과 사용 금 지 식품에 대해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사용 가능 식품에서 는 91.6-114.9% 범위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사용 불가 식품 의 경우 92.5-113.5% 범위의 회수율을 보였다. 락색소의 검 출 한계는 3가지 시료에서 검출한계 0.01-0.15 μg/mL, 정량 한계 0.02-0.47 μg/mL로 확인되었다. 락색소의 4가지 성분중 laccaic acid A와 C에 대한 측정 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laccaic acid A의 측정 불확도는 13.65±0.39 mg/kg(신뢰수준 95%, K=2), laccaic acid C의 측정 불확도는 4.19±0.39 mg/kg(신뢰 수준 95%, K=2)로 비교적 낮은 측정불확도 값을 산출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락색소의 개별 분석 과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확립으로 식품 중 잔류물질 기준규격 설정 및 관리에 참 고 자료가 될 수 있고, 향후 매트릭스 효과에 따른 laccaic acid 개별 분석과 개별 활성 및 독성시험 연구의 근거 지 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 rapid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and optimized to determine gluten content in bread. Existing gluten quantification methods were inappropriate for bread with high gluten content because they were optimized to analyze shallow gluten content.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first method of quantifying the gluten content in bread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gluten analysis method in cereal grains. Heat-stable gliadin was selectively quantified for gluten quantification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liadin peaks were separated using an Agilent SB-C8 column.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ere measured for validation. The calibration curve of gliadin had high linearity (R2 = 0.9996), and LOD and LOQ were 0.03 and 0.10 g/100 g,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2.49% and 1.54%, respectively. Recovery ranged from 90.73% to 93.87%, with RSD values less than 2.06%.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 method for quantifying gluten in bakery products is efficient, reliable, and reproducible.
본 연구는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camelliaside B의 표준정량화를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DAD)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주요화합물은 MS/MS 분석, UV 흡광도, 화합물의 유지시간 등을 통해 얻은 결과에 바탕을 두어 camelliaside B를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Camelliaside B의 HPLC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및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Camelliaside B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HPLC 분석법은 0.99% 이상의 상관계수(R2)로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Camelliaside B의 회수율은 100.42-108.00%였으며, 검출한계 (LOD)와 정량한계 (LOQ)는 각각 0.084㎍/㎖, 0.254㎍/㎖였다. 동백나 무 종자 지표물질 (camelliaside B)의 일중 정밀도는 각각 0.09-0.16 RSD였으며, 일간정밀도는 0.123 RSD였다. 표준화된 분석법으로 지역별로 수집한 동백나무 종자의 camelliaside B의 함량은 0.279-2.05㎎/g 으로 다양하였다. HPLC 분석법으로 확인한 모든 매개변수는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법은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 유래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 또는 의약품 개발의 첫 단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allantoin은 대표적인 마의 2차 대사산물로서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도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 결합 정지상 HPLC 컬럼을 이용하여 마의 속과 껍질의 allantoin 함량을 분석하였다. Allantoin 표준용액의 검량 선의 결정계수(R2)값은 0.9999로 높은 직진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229 mg/mL 및 0.0694 mg/mL로 설정되었다. 마 속과 껍질의 건조중량 기준 allantoin 함량은 각각 3.09±0.02 mg/g, 3.91±0.11 mg/g으로 속보다 껍질에 더 많은 allantoin이 함유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농업부산물인 마껍질이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호로파종자식이섬유 중 4-hydroxy- L-isoleucine에 대한 분석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최적분석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시료 채취량, 전처리 용매 및 이동 상 용매 조건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HPLC-PDA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4-hydroxy-L-isoleucine를 분석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컬럼은 Capcell Pack UG120 C18 (Shiseido, 4.6×250 mm, 5 μm)이며, 유도체 시약으로 OPA를 선정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5- 100 μg/mL 농도에서 결정계수(R2) 0.9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율은 91.7-96.4%이었고, 정 밀성은 0.5-1.1%의 상대표준편차(%RSD)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호로파종자추출물 중 4-hydroxy-L-isoleucine 분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Hydrogen peroxide (H2O2) is originally an endogenous small molecule which is reduced into water in cells. In order to know the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cells, first of all,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exogenous H2O2 which show reactive cellular responses was determined as 40 μM by MTT assay, and followed by 40 μM H2O2 application in RAW 264.7 cells for 30 min, 1, or 2 hours. The expressional changes of essential proteins for cellular proliferation, epigenetic modification, inflammation, apoptosis, survival, and protection were assessed by immunoprecipit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P-HPLC) using 51 antisera. 40 μM H2O2 treatment down-regulated proliferation-related proteins, Ki-67, PCNA, CDK4, cyclin D2, cMyc, and PLK4, induced histone methylation/ deacetylation and DNA methylation by increasing levels of HDAC10 and DMAP1 and by decreasing levels of DNMT1 and KDM4D, activated inflammatory reaction by increasing levels of MCP-1, COX-2, CD68, LTA4H, CXCR4, and lysozyme, and dramatically up-regulated cellular apoptosis-, survival-, and protection-related proteins, AIF, PARP-1, caspase 9, c-caspase 9, pAKT1/2/3, SOD-1, HO-1, NF-kB, NRF2, and GSTO1 in RAW 264.7 cells. These observations suggest exogenous 40 μM H2O2-induced oxidative stresses which resulted global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not only antioxidant, inflammation, and apoptosis but also proliferation and epigenetic modification. Particularly, 40 μM H2O2-induced apoptosis was mainly derived from PARP-1/AIF signaling leading parthanatos, and 40 μM H2O2-induced suppression of cMyc/MAX/MAD network was relevant to reduction of RAW 264.7 cell proliferation. Accordingly, H2O2 appears to affect RAW 264.7 macrophages in several ways eliciting not only oxidative stresses but also genome-wide DNA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vitamin B6 content according to the varieties, regions, and harvest times of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e verified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method with standard reference material 1849a and achieved reliability for internal analysis quality control with a mixture of cereal, whole wheat, and flou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tamin B6 contents (μg/100 g) were 6.9~86.5 in peppers, 5.1~17.2 in paprika, 4.4~5.0 in strawberries, 4.0~52.9 in tomatoes, 7.7~7.8 in Chinese cabbage, 17.3~23.3 in radishes, 13.4~37.6 in apples, 2.3~12.7 in peaches, and 3.7~12.7 in grapes. In general, the difference in vitamin B6 content showed by varieties, harvest times, and regions. Peppers showed the most difference as 79.6 μg/100 g among the varieties, and apples showed a difference as 22.8 μg/100 g by region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s in grape ‘Mihwang’, there was a difference of 7.5 μg/100 g. We will collect an amount of nutritional data on various food materials, and continue to build a reliable and integrated nutritional database. And then the database will be used in the 10th revision of th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