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the Marketability of Korean-Cut Hydrangea Flowers to Japan to Promote Exports KCI 등재

한국산 절화 수국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일본 시장성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6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일본 화훼 시장 내 절화 수국의 소비 실태 파악을 위해 일본 매매참가인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네델란드, 콜롬비아, 뉴질랜드, 한국, 일본산 수국 중 한국산 절화 수국의 선호도는 4%로 낮게 나타났지만, 평균품질은 26.1%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일본에서 선호하는 수국의 외적 특성은 화폭 15 ~ 20cm, 경장 50 ~ 70cm가 5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한국산 절화 수국의 구입 이유는 필요한 시기에 한국산 수국이 출하되기 때문이며, 한국 절화 수국의 문제점은 불균일한 품질로 나타났다. 일본에서 한국산 절화 수국이 필요한 시기는 9 ~ 10월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절화 수국의 재배 기술 확보를 통하여 수국의 외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연중생산 시스템 개발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수확 후 관리기술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일본 내 한국산 절화 수국 점유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urvey was conducted on Japanese wholesalers to identify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ut flower heads of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The market share for Korean-cut H. macrophylla was low (4% total) among supplies from the Netherlands, Colombia, New Zealand, Korea, and Japan. However, the average quality of Korean-cut H. macrophylla wa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26.1%). The most desirabl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H. macrophylla flower heads for the market in Japan (55%) were flower diameter (15–20 cm) and stem length (50–70 cm). The main factor favoring the purchase of Korean-cut H. macrophylla was that it was shipped when needed, whereas the main problem facing Korean-cut H. macrophylla in the market in Japan was uneven quality. In Japan, the period when Korean-cut H. macrophylla was needed was from September to October. Therefore, in Korea,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H. macrophylla flower heads by optimizing the cultivation technique for cut H. macrophylla, while,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of Korean-cut H. macrophylla in Japan, continued research is needed to optimize postharvest management technology as well as to improve the annual production system.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Ae Kyung Lee(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 이애경 Corresponding author
  • Ja Hee Lee(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 이자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