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즈 케이스 기반의 융․복합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소 기술 분석

Analysis of Technical Factors for Multidisplinary Cloud Service Model based on Use C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9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초록

세계 IT 융합산업의 시장은 규모는 더욱 더 성장하여 2018년에는 2,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산업간 융합 환경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전통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제공하는 원천으로 활용될 것이며 산업 간의 융합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 일반화되고 그 서비스가 재편됨으로써 기존의 다른 응용 기술과의 융․복합된 서비스 구조 및 형태를 예측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기술 요소뿐만 아니라 다중 분야별 융․복합형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해 효율적인 서비스 모델링을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시스템들이 구축에 활용되었던 방법론에 대한 결과물인 유즈 케이스(Use Case)를 활용하여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및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유즈 케이스 기반의 영역간의 서비스 통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융․복합 모델을 제시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2.2 클라우드 서비스의 배치 유형 (Deployment Models)
 3.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즈 케이스(Use Case)의 분류 및 요구 사항 분석
  3.1 최종 사용자와 클라우드 간 (End User to Cloud)
  3.2 기업과 클라우드 그리고 최종 사용자 간 (Enterprise to Cloud to End User)
  3.3 기업과 클라우드 간 (Enterprise to Cloud)
  3.4 기업과 클라우드 그리고 기업 간 (Enterprise to Cloud to Enterprise)
  3.5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3.6 클라우드 벤더 교체
  3.7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4. 시나리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즈 케이스(Use Case) 사례 연구: SCM 협업 시스템
  4.1 고객 시나리오
  4.2 고객 문제 해결
 5. 융․복합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소 기술 도출
 6.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서광규(상명대학교 경영공학과)
  • 최다영(상명대학교 경영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