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status and assignment of Buddhist dance
이 논문은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과를 검토하여 불교무용연구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무용에 대한 연구는 1968년 홍윤식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46호인식당작법을 시작으로 약 50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연구는 초기 민속학자ㆍ무용학자ㆍ국악학자들에 의한 현지조사로 광의적 시각에서 불교무용을 조사하였으나, 현재는 무용전공자, 불교학자 중심으로 협의적 시각에서 세부적으로 연구한다. 현재 불교무용의 연구업적은 201편으로, 보고서 3편, 박사학위논문 9편, 석사학위논문 72편, 학술지논문 41편, 단행본 41권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이 영산재(119편)에 대한 연구이며, 수륙재, 상주권공재, 예수재의 논문은 매우 소량이다. 이는 영산재가 1973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이후 세간에 널리 전승,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영산재 논문 119편중에서 작법무 56편, 나비춤 25편, 바라춤 23편, 식당작법 10편, 법고춤 5편으로 작법무에 대한 연구가 많은데, 이는 불교무용을 통합․융합적으로 보는 시각의 확장과 작법무를 무대공연화, 창작작품화, 교육프로그램개발 등 콘텐츠로 변모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무용 연구의 약 35%가 무보를 수록하였는데, 무보의 형식은 그림무보, 사진무보, 문자무보 등 다양한 형식의 무보가 사용되었다.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바람직한 불교무용의 연구과제는 불교무용의 용어정리, 작법승 계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불교무용에 적합한 무보개발, 작법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개발, 불교무용 콘텐츠와 산업과의 연계성 등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outcome of previous studies of Buddhist dance and to suggest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Buddhist dance research. The research of Buddihist dance has been conducted during 50years by Yoonsik Hong since 1968 with Shikdang-Jakbeop which is the 46th research repor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early studies were conducted in broad view with a field research by folklorists, dance schola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cholars, and pres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dance majors and Buddhism scholars in detailed narrow view. There are 201 studies of Buddhist dance with 3 reports, 9 doctoral dissertations, 72 master's theses, 41 publications, and 41 books. Most of the research are topic of Yeongsanjae(119) and rest of those are topic of Suryukjae, Sangjukwonkongjae, and Yeasujae, because that Yeongsanjae was designed by 50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73 and transmitted and propagated in our society. Among the 119 Yeongsanjae studies, there are 56 Jakbeopmu, 25 Butterfly dance, 23 Barachum, 10 Shikdang-jakbeop, and 5 Beopguchum, and more number of Jakbeopmu studies. The reason is that the Buddhist dance has been integrated and extended and the Jakbeopmu has been developed as a stage performance, creation performance, and educational program. Also, 35 percent of Buddhist dance studies published with Mubo which is a dance recording method, and the forms of Mubo were various such as drawing, picture, and letter. Terminology arrangement of Buddhist dance, systematical research of Jakbeop monk genealogy, proper development of Mubo for Buddhist dance, program development of Jakbeopmu, and combination of Buddhist dance and industry are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Buddhist 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