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awa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KCI 등재

SEAWAT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여수지역 해수침투 저감 대책 효과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49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SEAWAT을 이용하여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을 파악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미래의 해수침투 피해 예상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해수침투 피해 저감 대책의 피해면적 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여수지역의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14.90 km2로 나타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2099년 여수지역의 예상 해수침투 피해 면적은 RCP 4.5의 경우 19.19 km2이며, RCP 8.5의 경우 20.43 km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저감대책으로 인공함양을 고려하였을 때, 총 300 m3/d, 100 m3/d, 50 m3/d의 함양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을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7.03%, RCP 8.5의 경우 8.32% 감소하였다. 물리적 차수벽 대책의 경우는 차수벽의 두께를 0.8 m, 1.3 m, 1.8 m 로 설정하였을 때 RCP 4.5의 경우 해수침투 면적은 평균 9.80%, RCP 8.5의 경우 10.30%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해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과 그에 수반한 2차적인 피해를 막기 위한 대비책을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인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awater intrusion areas were calculated in Yeosu region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the effects of countermeasures for seawater intrusion were analyzed using SEAWAT program. The estimated seawater intrusion area was 14.90 km2 in 2015. When we appli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area was changed to 19.19 km2 for RCP 4.5 and 20.43 km2 for RCP 8.5 respectively. The mitigation effects by artificial recharge with total 50 m3/d, 100 m3/d, and 300 m3/d are from 3.75% to 10.68% for RCP 4.5, and from 5.82% to 10.77% for RCP 8.5 respectively. If we install barrier wall with the thickness 0.8 m, 1.3 m, and 1.8 m, the mitigation effects are from 6.67% to 12.04% for RCP 4.5, and from 6.17% to 14.98% for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 a logical means of quantitative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in coastal area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1 연구지역
  2.2 SEAWAT
  2.3 해수침투 방지 대책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SEAWAT 모델 구성
  3.2 정류상태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후 해수침투피해면적 산정 결과
  3.3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및 해수침투 저감 대책적용 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Yang Jeong-Seok(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양정석 Corresponding Author
  • Lee Jae-Beom(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이재범
  • Kim Il-Hwan(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김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