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따른 알팔파바구미(Hypera postica )의 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기후변화는 곤충의 성장, 발육, 생존, 생식력, 분포범위 등 생활사의 변수들에 영향을 준다. 특히 외래곤충의 경우 생태계 정착 및 확산이 빨라 지고 있으며, 생태계 교란, 토착종 감소 등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알팔파바구미는 1990년대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 후 남부지방에 대량 발생하여 농업해충으로 인식되었다. 최근 하면처로 이동하는 개체에 의한 밭작물의 피해와 여러 시군에서 서식이 확인되며 확산의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알팔파바구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였다. 미래의 기후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서 알팔파바구미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변수는 2015~2017년까지 알팔파바구미의 서식이 확인된 66개 지점과 종의 생태특성 및 예측변수간 상관성을 고려한 6개(bio3, bio6, bio10, bio12, bio14, bio16)의 생물기후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모형의 적합 도는 평균 0.765로 잠재력이 의미 있는 값이며, 최고 따뜻한 분기의 평균기온(bio10)이 60~70%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2050년과 2070년의 시나리오(RCP 4.5, RCP 8.5)에 대한 모형의 결과는 한반도 전역에서 알팔파바구미의 분포 변화를 보여 주었으며, 기온상승에 따른 전국적 확산이 예측되었다.
Climate change can affect variables related to the life cycle of insects, including growth, development, surviv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As it encourages alien insects to rapidly spread and settle, climate change is regarded as one of the direct causes of decreased biodiversity because it disturbed ecosystems and reduces the population of native species. Hypera postica caused a great deal of damage in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after it was first identified on Jeju lsland in the 1990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individuals moving to estivation sites has concerned scientists due to the crop damage and national prolifer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climate change could affect inhabitation of H. postica. The MaxEnt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potential distributions of H. postica using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namely,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and RCP 8.5. As variables of the model, this study used six bio-climates (bio3, bio6, bio10, bio12, bio14, and bio16)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66 areas where inhabitation of H. postica was confirmed from 2015 to 2017, an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prediction variables.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measured at a considered potentially useful level of 0.765 on average, and the warmest quarter has a high contribution rate of 60-70%. Prediction models (RCP 4.5 and RCP 8.5) results for the year 2050 and 2070 indicated that H. postica habitats are projected to expan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ncreasing temp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