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임도개설 전・후 식물상 및 식생변화 비교 연구 ‐ 민주지산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Flora and Vegetation Change before and after Forest Road Construction in the Research Site of Minjuji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9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임도개설 전・후 년차별로 식물상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식생의 변화 및 관리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민주지산 조사구간을 대상으로 임도개설 전년도인 2012년부터 임도 개설 2015년까지 4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임도개설 조사구간 내의 식물군락은 북서사면에서 신갈나무군락, 남서사면에서 굴참나무군락과 일본잎갈나무군락으로 구분되어 남서사면과 북서사면에서 군락의 차이를 보였다. 임도개설 전・후 년차별로 식물상의 변화는 임도 개설 전인 2012년도 총 66분류군(44과 59속 51종 13변종 2품종)에서 2015년도에는 209분류군(71과 153속 178종 27변종 4품종) 으로 143분류군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013년도에 개설된 임도 근접 사면부의 조사구에서는 차후 년차적 으로 높은 식피율과 새로운 분류군의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임도 개설 후 광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일어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임도 개설 마지막 년도인 2015년 식생조사 결과를 보면 임도 개발 다음연도는 초본층의 피도가 증가하다가 그 후에는 관목층의 피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13년과 2014년에 비해 임도 개설 지역 근접 사면의 식피율이 많은 증가를 보였는 바 지속적인 보완 조사가 수행된다면 향후 임도개설 전・후 식물상 및 식생 변화에 있어서 면밀히 분석된 매뉴얼이 완성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2, which was a year before forest road construction in Minjujisan, to 2015 to verify effects on flora and vegetation change annually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and to provide strategies to examine and manage flora changes. The plant communities in the investigated area around the forest road is separated by the slopes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on the northwestern slope and Quercus variabilis and Larix kaempferi communities is on the southwestern slope. The annual investigation of flora change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showed that there were 209 taxa that had 71 families, 153 genera, 178 species, 27 varieties, and 4 forma in 2015 while there were 66 taxa that had 44 families, 59 genera, 51 species, 13 varieties, and 2 forma in 2012 before the construction, indicating an increase of 143 texa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slope area adjacent to the forest road constructed in 2013, in particular, showed increasing coverage and taxa each year after the construction. This was caused by significantly increased light transmittance after the construction. The investigation in 2015 showed increased coverage of herbaceous layer the year after development of the forest road and the remarkable increase of the coverage of shrub layer in 2015. Further, the coverage on the slope adjacent to the forest road increased more in 2015 than in 2013 and 2014. Therefore, we expect supplementary studies will help to generate a detail manual on flora and vegetation change before and after forest road construc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2. 연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2. 조사지역의 식물학적 특성
  3.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4. 중요치 분석
 REFERENCES
저자
  • 한승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한국환경생태연구소) | Seung Woo Han (Dept. of Environmental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KoEco Inc)
  • 권형근(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Hyeong Keun Kweon (Dept. of Environmental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 이상명(국립중앙과학관) | Sang Myong Lee (National Science Museum)
  • 김현숙(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Hyoun Sook Kim (Dept. of Environmental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 이준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oon Woo Lee (Dept. of Environmental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