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Setaria italica Beauv.)의 품종별 파종시기에 따른이화학 특성과 항산화 활성 KCI 등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wo Varietie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 during Different Seeding Peri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고품질, 고기능성 조 생산을 위한 파종시기를 설정하고자 조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른 이화학 특성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금조의 단백질 함량은 1~3차에서, 삼다메는 1차에서 높았으며, 황금조의 탄수화물 함량은 4~5차에서, 삼다메는 5차에서 높게 나타났다. 황금조의 명도와 황색도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삼다메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는 전반적으로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의 팽윤력은 대체적으로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른 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금조와 삼다메에서 각각 298.68~315.13 및 288.84~297.73 mg GAE/100 g으로 황금조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삼다메는 2~3차 파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차 파종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른 조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황금조와 삼다메에서 각각 104.70~126.89 및 111.75~136.92 mg TE/100 g,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88.69~114.64 및 69.80~100.09 mg TE/100 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품종과 재배시기에 따라 폴리페놀 성분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조의 품종과 재배지역을 고려하여 적정 파종시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varieties of foxtail millet were evaluated across different seeding periods. Results indicated the moisture, crude ash, fat, protein, and carbohydrate levels of the foxtail millet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variety and seeding periods.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early-season seeding periods; However,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late-season seeding periods.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Hwanggeumjo varie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eeding periods were delayed though the color of the Samdame variety decreased. The swelling power of foxtail millet increased as the seeding periods were delaye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Hwanggeumjo and Samdame varieties were 298.68~315.13 and 288.84~297.73 mg GAE/100 g, and flavonoid contents were 181.32~172.92 and 172.49~183.86 mg CE/100 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04.70~126.89 and 111.75~136.92 mg TE/100 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8.69~114.64 and 69.80~100.09 mg TE/100 g,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wanggeumjo were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seeding periods of the early-season, and Samdame was highest when harvested during the seeding periods of the late-seas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2. 일반성분 함량 분석
  3. 색도 및 수분특성 분석
  4. 항산화 성분 및 활성 검정 추출물 제조
  5.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6.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
  7.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품종 및 파종시기별 조의 일반성분 함량
  2. 품종 및 파종시기별 조의 색도 및 수분특성
  3. 품종 및 파종시기별 조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4. 품종 및 파종시기별 조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건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Gun Ho Jung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성국(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Sung Kook Kim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재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Jae Eun Lee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우관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Koan Sik Woo (Dep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