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Social integration center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ich entered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s, and reviewed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n 2000. Then, it also reviewed the reform of preschool institutions, which was done to find a new driving force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nsure an equal starting line for all children,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utual 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ractical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ing curriculum, or opera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examining Preschool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 cas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intercultural education extend beyond their role as a common educational place for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grant backgrounds, expanding their role as a forum for social integration and becoming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s.
2. When developing a curriculum or program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ind key topics in real situations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 meaning is found in relation to real life so that one can learn what they need in life, not in an artificially created situation.
3. Parents are recognized as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and by treating them as the specialist of their own situation and their own children, the environment is create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live with their equal rights in Korea, integrate them into local communities, expand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 parents' educational capacity.
4. Continuous and sustained education is needed instead of short-term training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understand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5. Instruct children to talk freely about unfair and inequitable situations and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rocess, anti-prejudice education is needed to help them find out how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prejud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