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쥐 정자의 수정능 획득에서의 Glycogen synthase kinase-3 α/β 기능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3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발생생물학회 (The Korea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초록

Glycogen synthase kinase-3 α/β는 Apoptosis나 cell survival, 성장인자들과 상관된 다양한 신호전달 중요한 효소이다. GSK-3는 GSK-3α와 GSK-3β인 두 개의 isoform이 존재한다. GSK-3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tyrosine 214서열의 인산화, GSK-3α에서는 Serine 21번, GSK-3β에선 Serine 9번의 인산화를 통해서 신호전달기능이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GSK-3는 항상 활성화된 상태이며, 이 활성화가 억제되었을 때 신호 전달이 매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8주령의 수컷 생쥐의 정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GSK-3α/β, p-GSK-3α/β(tyr 214), p-GSK-3α(ser21), p-GSK-3β(ser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정자 내 발현부위를 확인하였다. 정자 내 GSK-3α/β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생쥐의 뇌, 신장, 생쥐 정소 gonocytes 세포주(GC1-SPG)를 비교 분석하였다. 뇌와 GC1-SPG 세포주에서는 GSK-3α/β는 모두 존재하는데 반해 생쥐 정자와 신장에서는 GSK-3α가 dominant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정자의 수정능 획득에 의한 GSK-3α/β의 발현과 인산화의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다. 부정소 미부의 정자를 추출해 배양하지 않은 정자, 수정능이 생기지 않는 Non capacitated Media (NCM)에 배양한 정자, 수정능을 얻게 하는 Human tubal fluid (HTF)에 배양한 정자들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배양을 한 정자에서 GSK-3α의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GSK-3α/β의 tyrosine 인산화 역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Capacitation에 관한 연구에선 PKA pathway가 매우 중요하다. Forskolin의 처리에 따른 Adenylic cyclase 활성화에 의해 GSK-3α/β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으며, 배양을 통한 capacitation을 진행할수록 GSK-3α/β tyrosine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cell-permeant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analog인 8-Br-cAMP(8-Bromo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와 phosphodiesterase inhibitor인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를 이용해 세포내 cAMP 레벨을 증가시켜 PKA pathway 활성화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GSK-3α/β tyrosine 인산화, GSK-3α/β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PKA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H-89 dihydrochloride hydrate를 통해서도 역시 GSK-3의 억제성 인산화가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전체 적인 정자의 tyrosine 인산화 패턴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생쥐 부정소 정자에서는 GSK-3α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 뇌와 신장에 비해서 발현양은 적게 발현된다. 이에 따라 생쥐의 정자에서는 GSK-3α의 기능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생쥐 부정소 두부 보다 미부에서 GSK-3α/β tyrosine 인산화와 GSK-3α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으므로 정자의 운동성과 수정능이 획득될수록 GSK-3α/β 신호 전달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GSK-3α/β는 PKA pathway dependent한 요소로서 기능하며 포유류 정자 내부의 운동성과 수정능에 대한 신호조절 체계 이해에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 허웅(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계명찬(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