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we developed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hat checks vehicle conditions, and transmits and displays them to a driver for safety and effective maintenance. We used a CAN controller and transceiver to establish the CAN communication that has been used commonly inside an actual vehicle for the collection of vehicle's status information. To validate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we have confirmed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ehicl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portable bioelectric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the safety of industrial workers.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the one is boielectric signal measurement unit and the other is signal analyzer system with PDA. The former includes signal processing part, A/D convertor, and 8051 based microprocessor, the latter includes software for signal analysis and display. The developed system detects industrial worker's ECG and displays and stores it to PDA. The ECG data in PDA can be transmitted to PC located in a distance, allowing a doctor to review the ECG and make a treatment decision. A doctor analyzes the ECG data and gives medical treatment to industrial worker.
현재 국내 인체 이식용 전자 의료기의 이식건수는 매년 약 1800 여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연령대도 다양한 작업환경에 노출되는 청장년층으로 급속히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이식용 의료기는 인공 심장 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진통억제를 위한 이식형 전기 펄스 발생기, 이식형 약물주입기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기들은 미세한 생체 신호에 따라 반응하기 때문에 생체 신호이외의 잡음에 의한 오동작은 절대적으로 피해져야 하며 경우에 따라 생명위협과도 직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사용 중인 이식형 전자의료기들의 구조와 동작원리,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 잡음의 영향을 고찰하고, 잡음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전자의료기 인체 삽입자의 작업환경에 따른 안전문제를 제고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working adaptation evaluation system using finger force measurement which interact between material and biological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a finger force transducer, a signal conditioner, an A/D converter, a computer, and a software system for data processing. The finger force transducer is made by a load cell and a special mechanism. The data processing software controls the A/D converter, data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for group classification. The developed system were tested by 4 different materials in left hand and the finger forte transducer in the other hand's thumb and index finger with 16 person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 developed system could measure the finger force quantitatively and classify the measured values into four groups.
Glycogen synthase kinase-3 α/β는 Apoptosis나 cell survival, 성장인자들과 상관된 다양한 신호전달 중요한 효소이다. GSK-3는 GSK-3α와 GSK-3β인 두 개의 isoform이 존재한다. GSK-3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tyrosine 214서열의 인산화, GSK-3α에서는 Serine 21번, GSK-3β에선 Serine 9번의 인산화를 통해서 신호전달기능이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GSK-3는 항상 활성화된 상태이며, 이 활성화가 억제되었을 때 신호 전달이 매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8주령의 수컷 생쥐의 정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GSK-3α/β, p-GSK-3α/β(tyr 214), p-GSK-3α(ser21), p-GSK-3β(ser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정자 내 발현부위를 확인하였다. 정자 내 GSK-3α/β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생쥐의 뇌, 신장, 생쥐 정소 gonocytes 세포주(GC1-SPG)를 비교 분석하였다. 뇌와 GC1-SPG 세포주에서는 GSK-3α/β는 모두 존재하는데 반해 생쥐 정자와 신장에서는 GSK-3α가 dominant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정자의 수정능 획득에 의한 GSK-3α/β의 발현과 인산화의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다. 부정소 미부의 정자를 추출해 배양하지 않은 정자, 수정능이 생기지 않는 Non capacitated Media (NCM)에 배양한 정자, 수정능을 얻게 하는 Human tubal fluid (HTF)에 배양한 정자들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배양을 한 정자에서 GSK-3α의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GSK-3α/β의 tyrosine 인산화 역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Capacitation에 관한 연구에선 PKA pathway가 매우 중요하다. Forskolin의 처리에 따른 Adenylic cyclase 활성화에 의해 GSK-3α/β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으며, 배양을 통한 capacitation을 진행할수록 GSK-3α/β tyrosine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cell-permeant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analog인 8-Br-cAMP(8-Bromo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와 phosphodiesterase inhibitor인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를 이용해 세포내 cAMP 레벨을 증가시켜 PKA pathway 활성화하였다. 이 실험에서도 GSK-3α/β tyrosine 인산화, GSK-3α/β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다. PKA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H-89 dihydrochloride hydrate를 통해서도 역시 GSK-3의 억제성 인산화가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전체 적인 정자의 tyrosine 인산화 패턴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생쥐 부정소 정자에서는 GSK-3α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 뇌와 신장에 비해서 발현양은 적게 발현된다. 이에 따라 생쥐의 정자에서는 GSK-3α의 기능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생쥐 부정소 두부 보다 미부에서 GSK-3α/β tyrosine 인산화와 GSK-3α serine 억제성 인산화가 증가하였으므로 정자의 운동성과 수정능이 획득될수록 GSK-3α/β 신호 전달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GSK-3α/β는 PKA pathway dependent한 요소로서 기능하며 포유류 정자 내부의 운동성과 수정능에 대한 신호조절 체계 이해에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체세포분열에서는 세포질 분열이 완성된 형태로 두 개의 독립적인 딸 세포가 형성되지만, 분열중인 생식세포들은 intercellular bridge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Centralspindlin complex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mitotic kinesin-like protein-1 (MKLP1)은 세포분열 중기 및 후기에 염색체 분열과 cytokinesis에 관여한다. 생식세포에서의 세포분열 후기단계에서 발현되는 testis-expressed gene 14(TEX14)는 kinetochore의 요소 중 하나로, 세포 후기 단계에 생성되는 intercellular bridge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Aurora kinase B(ARKB)는 MKLP1을 인산화시켜 intercellular bridge를 안정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소 내 생식세포의 증식과 감수분열, 정자형태형성 과정에서 ARKB에 의한 MKLP-1의 기능조절 연구의 일환으로 발생중인 생쥐 정소에서 MKLP1, ARKB, TEX14 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19일째 배아, 출생 직후, 출생 후 1, 2, 4, 8주령의 수컷 생쥐의 정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량적 RT-PCR법을 이용하여 정소 내 MKLP-1 mRNA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KLP-1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정소 내 MKLP-1,ARKB, TEX-1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 결과, 정소에서 110 kDa의 MKLP-1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생후 2주령부터 MKLP-1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MKLP-1 immunoreactivity는 생후 1일 정소의 gonocytes, 생후 1주령 정소의 spermatogonia, 생후 2주령 정소의 early spermatocytes에서는 핵과 intercellular bridge에서 발현하였고, 생후 4주 및 8주령 정소의 pachytene spermatocytes 이후 단계의 생식세포들에서는 intercellular bridge에서 발현하였다. Sertoli cell과 Leydig cell 핵의인 부위에서도 발현하였다. ARKB는 pachytene spermatocyte의 핵과 intercellular bridge에서 강하게 발현하였다. TEX14 immunoreactivity는 생후 1일 정소에서 발현은 거의 되지 않았다. 생후 1주부터 성체시기까지 생식세포의 intercellular bridge에서 발현하였다. 정소 내에서 MKLP-1은 gonocytes, spermatogonia, 초기감수분열 중인 spermatocytes의 핵과 intercellular bridge에서 활성을 띄는 반면 pachytene spermatocyte 이후부터는 intercellular bridge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RKB는 intercellular bridge에서 MKLP1의 안정화에 기여하지만 Pachytene spermatocyte stage 전후단계의 생식세포의 핵에서 MKLP1의 발현을 제한하는 상반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