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쥐 부정소에서 Rhox5 발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3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발생생물학회 (The Korea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초록

설치류에서 약 200여 가지의 homeobox 유전자가 밝혀져 있고, 그 중 1/3은 생식소에서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meobox는 전사인자를 암호화 하는 서열로 이 중 Rhox cluster는 개체 발생과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총 13가지로 Rhox 유전자 중 Rhox5는 포유류에서만 발견되는 homeobox 유전자로 주로 정소, 부정소, 난소, 자궁과 같은 생식과 관련된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며, 다른 종류의 Rhox5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master Rhox이다. 생쥐 부정소에서 Rhox5는 두부에서 주로 발현되는 반면 쥐에서는 미부부정소에서 발현되는데 이는 차등적 promoter(proximal, distal) 사용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출생 후 성숙과정에서 부정소 부위별 Rhox5 발현을 분석하는 한편, 성체 생쥐 부정소에서 남성호르몬에 의한 Rhox5 발현 변동을 분석하였다. 신생 생쥐, 생후 1, 2, 4, 8주령의 수컷 생쥐의 부정소를 대상으로 정량적 RT-PCR 및 면역조직화학 법으로 Rhox5 발현을 확인하였다. 성체 부정소에서는 caput, corpus, cauda 부위별로 Rhox5 발현을 확인하였다. 성체 생쥐 부정소에서 남성호르몬에 의한 Rhox5 발현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성체를 거세시킨 후 2주 후 5a-dihydrotestosterone(5aDHT)을 7일간 투여하고 마지막 투여 6시간 후 분석에 공시하였다. 주령별 생쥐 부정소의 RT-PCR 결과, Rhox5 mRNA는 출생 직후, 출생 후 1, 2주령의 생쥐에서는 발현되지 않았고, 출생 후 4, 8주령의 생쥐에서는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성체 부정소의 caput, corpus, cauda에서 caput에서 Rhox5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면역조직화학 염색결과 수출관, 두부의 상피조직의 핵에서 다량 발현되었고 체부에서 가장 낮고 미부에서 소량 발현하였다. 거세 생쥐 부정소에서는 두부에서 Rhox5 mRNA 및 protein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5aDHT에 의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거세 생쥐 부정소 체부와 미부에서는 Rhox5 mRNA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protein은 증가 하였고 5aDHT에 의해 다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생쥐 부정소에서 Rhox5 발현은 사춘기 직전 아직 남성호르몬이 충분치 않은 조건에서 이미 개시되고 사춘기에 추가적으로 증가하므로 부정소 내재적 인자에 의해 Rhox5 유전자 전사가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성체 부정소에서 Rhox5 발현은 두부에서 매우 높으며 부분적으로 남성호르몬의 조절을 받으며, 체부와 미부에서는 억제되던 Rhox5가 남성호르몬 결핍 시 비정상적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체부와 미부에서는 Rhox5 mRNA와 단백질 발현량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Rhox5는 번역후 조절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 변하연(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계명찬(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