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EM을 이용한 다목적 관리기 동력전달 시스템의 응력해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tress Analysis of Transmission System of Multi-Purpose Cultivator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3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다목적 관리기의 동력전달 시스템이 가혹한 작동환경에서 겪는 응력상황에 대한 분석을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기계요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한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진행되었다. 엔진으로부터 작업기에 이르는 과정에 존재하는 동력전달 시스템은 엔진의 출력이 과도하게 인가될 경우 매우 높은 수준의 응력을 나타낼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가혹한 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출력축이 정지된 상황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볼클러치(Ball-clutch)와 PTO 조인트(Power take-off joint)에 대하여 응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허용접촉응력 이상의 높은응력이 국부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촉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추가적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접촉부의 모서리에 일정 반경의 모깎기를 적용하거나 기계요소의 형상을 변화시켜 접촉면의 위치를 바꿈으로서 과도한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우수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지닌 다목적 관리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ress distribution of mechanical components ofmulti-purpose cultivator under complicated operation conditions. The analysis was performedthrough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powertrain was suggested.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harshcondition that output of the cultivator was constrained by various external conditions. In thiscase, engine power was estimated to b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and extremely high stresswas monitored as the result of the stress analysis on the ball-clutch and PTO joint. Modificationof surface geometries at the contact area was suggested and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contactstress was clarified. It wa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developmulti-purpose cultivator which had improv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시뮬레이션 모델 및 방법
  1 시뮬레이션 모델
  2 시뮬레이션 방법
 시뮬레이션 결과
  1 볼클러치의 응력분포 및 설계개선에 따른 결과
  2 PTO 조인트의 응력분포 및 설계개선에 따른 결과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강원빈(경북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 Won-Bin Kang (Department of precision mechan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현우(경북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 Hyun-Woo Kim (Department of precision mechan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진현(경북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 JinHyun Kim (Department of precision mechan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현준(경북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 Hyun-Joon Kim (Department of precision mechan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