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기능을 다양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전사 후 단백질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통해 단백질 활성이 조절된다. 또한, 최근 단백질의 sumoylation에 의한 활성 변화와 조절기전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여러 종류의 small ubiquitin-like protein(Ubl)이 밝혀졌다. 그 중 SUMO-1(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 1)에 의한 sumoylation을 통해 androgen receptor(AR)가 modification 되어진다. Sumoylation은 protein을 targeting하고,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며, 전사를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소에서 sumo-1 발현에 미치는 남성호르몬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후 8주인 수컷 생쥐를 이용하여 정소가 제거 되지 않은 생쥐(Sham)와 정소를 제거한 생쥐(ORX), 정소를 제거한 후 1주간 Dihydrotestosterone(DHT)를 subcutaneous에 주사한 생쥐(ORX+DHT) 등으로부터 적출한 부정소를 이용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부정소 내 SUMO-1의 발현 부위와 정량적 RT-PCR를 통해 SUMO-1 mRNA 발현을 두부, 체부, 미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부정소 내 sumo-1에 의한 단백질 패턴을 확인하였다. 생쥐 부정소에서 SUMO-1 immunoreactivity는 Sham군보다 ORX군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ORX+DHT군에서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ORX군에서 두부보다는 체부와 미부에서 강하게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정량적 RT-PCR에 의하면 두부와 체부 부정소에서는 Sham군에 비해 ORX군에서 SUMO-1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미부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sham군보다 ORX+DHT군 미부에서 SUMO-1 mRNA 발현 유의성이 증가하였지만 두부와 체부에서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ORX+DHT군에서 SUMO-1 mRNA 발현이 ORX군에 비해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Western blot에서는 각 부정소에서 단백질 발현 패턴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sham군에서 발현된 단백질은 ORX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며 ORX군에서 발현된 단백질은 sham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부정소에서 sumo-1 전사와 단백질량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sumo-1의 전사는 두부, 체부가 유사하고 미부는 이들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각 부정소에서 단백질 발현 패턴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남성호르몬에 의해서 ORX군에서 감소하고 증가한 단백질들을 전반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ORX군 상피조직의 핵에서 sumo-1 증가는 AR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으로 보아 상피세포에서 AR등과 같은 전사인자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반대로 AR이 감소한 경우 남성호르몬에 의한 AR의 전사활성 감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작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