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903년 광무호적과 1912년 토지조사부 및 지적도의 비교연구- 용산지역 형제정계(兄弟井契)와 도화동외계(桃花洞外契)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Household Registrations of Kwangmu in 1903 and the Land Survey Register and the Cadastral Map in 1912 - Focused on the Partial Area of Hyungjedong-Gye(兄弟井契) and Dohwadongeoi-Gye(桃花洞外契) in Yongsan(龍山)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7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건축역사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목차
1. 서 론
 2. 1903(광무7)년 용산지역의 현존 광무호적자료의 개괄
  2.1 용산지역 호적자료의 구성
  2.2 용산 형제정계, 도화동외계 호적자료의 특징
 3. 1903년 호적자료와 1912년 토지조사부의비교
  3.1 1912년 토지조사부의 개략
  3.2 1903년 호적자료와 1912년 토지조사부 상에서 동일인물 조사
  3.3 대상 지역 주민의 이주율 조사
 4. 1903년 용산지역의 통호체계의 재구성
  4.1 통의 배치
  4.2 통내 호의 배치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서동천(국립중앙박물관 연구기획부) | Seo Dong-C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