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빈도수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다감각 자극을 중재하였다. 아동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기초선과 유지기에LOTCA-II를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의 ABA'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기, 유지기에 걸쳐 총 14회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회기는 30분씩 시행되었다. 문제행동 빈도수는 20분 동안 측정되었다.
◉ 결과: 본 연구 결과 대상자 1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기초선과 비교하여 다감각 자극 중재기 동안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 대상자 3, 대상자 4의 중재기 동안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의 유지기 동안 문제행동은 중재기 보다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는 감소하였다. 기초선과 비교하여 유지기 동안 대상자 1의 문제행동은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의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3과 대상자 4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본 연구는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인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였다. 대상자 2는 기초 선과 중재기보다 유지기에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으나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는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environments on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of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who had challenging behavior. We use LOTCA-II in baseline and follow-up for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ABA' of 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was used. 14 sessions were include baseline, intervention, follow-up. Each sessions lasted 30 minutes. Challenging behavior frequence measured for 20 minutes.
◉ Results : The measured result shows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comparison of the average challenging behavior during baseline but subject 2, subject 3, subject 4 were reduced during intervention.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of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were increased while subject 2 was reduced. Comparing with baseline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was increased during the follow-up, on the other hand subject 2 decreased. Subject 3 and subject 4 did not show the average difference of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 Conclusion : Finding from the study suggest that multisensory environments has positive effects to reduce the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 2 showed reduce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comparing with baseline and follow-up, but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had no positive effect in follow-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