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강보험공단 통계를 이용한 장애인의 건강검진 현황 및 건강형태(신체활동 등)에 대한 소고 KCI 등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Screening and the Health Type(Physical Activity, and etc) of the Disabled by Using the Statistics of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3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애와 건강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을 살펴보고 건강검진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건강검진 문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건강관리 형태 등을 소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제약을 받고, 2015. 12. 31. 기준 등록한 장애인2,479,080명중 건강검진과 건강형태 조사에 참여한 장애인으로 한정하여 정책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장애인 건강검진은 첫째, 장애인에 적합한 건강검진 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당사자들의 의견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장애유형 및 중증도별 건강검진 항목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장애 인건강검진 의료장비 및 편의시설에 대하여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인력확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장애인의 이동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건강형태는 첫째, 장애인 건강증진을 위한 각 영역별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이를 운영하는 시설 현황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장애인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나와 있는 중앙장애인 보건의료센터에서 장애유형 및 중증도별 표준화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장애인 건강검진과 건강형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정책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제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연구들이 추진되길 바라며 장애인의 건강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인과관계가 지속적으로 밝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creening rate of health screening of the disabled by screening the data of disability and health statistic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o suggest the problems of health examination and the future improvement measures, and also to review the type of health management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 interview. As people with limited daily life or social life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ir physical/psychological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2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Act>, out of 2,479,080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December 31st 2015,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screening and health type for presenting the opinions about policies. In conclusion, regarding the health screening for the disabled,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repare the health screening service suitable for them. Second, it would be needed to develop the health screening ite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severity.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medical equipments and amenities of health examination for the disabled. Fourth, there should be the securement of manpower and education for service providers. Fifth, the mobility right of the disabled should be secured. Regarding the health type of the disabled, first, the expert consultative group in each area should be composed for the health enhancement of the disabled.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screening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operating facilities. Third, the Central Health Medical Center for the Disabled, shown in the law on the securement of health rights & medical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should develop the standardized health enhancement programs for each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health examination and health type of the disabled, the opinions about policies were suggested. Thu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detailed researches based on the task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also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health of the disabled and relevant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reveal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내용
  2.3. 일반건강검진 내용
  2.4. 건강형태 내용
 3. 장애인건강검진에 대한 소고
 4. 장애인 건강형태에 대한 소고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석진(건국대학교 체육학과) | Seck-Jin Kim (Department of Physical Exercise, Kunkok Univ.)
  • 정진성(대전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Jin-Sung Jung (Department of sport science, DaeJeon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