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학용품 구매훈련의 효과

The Effect of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on Buying Training of School-Supplies for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5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초록

◉ 목적 : 본 연구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인 앨범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훈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10세 여아 1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2회기로 기초선 과정(A1) 3회기,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과정(B) 6회기, 재 기초선 과정(A2) 3회기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자신이 과제를 수행하는 사진으로 제작한 앨범을 이용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 없이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만 측정하였고, 중재 과정 6회기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후,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재 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과제 완수율만을 측정하였다.
◉ 결과 : 학용품 구매 활동에 대한 과제 완수율은 기초선 과정에 비해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기간 동안 50%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도움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재 기초선 과정을 통해 중재 종료 후에도 그 효과가 90%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결론 :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 활동 수준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중재는 지적장애 아동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향상시
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on buying school-supplies for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Methods : An AB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2 sessions including the baseline phase (A1) for 3 sessions, intervention phase (B) for 6 sessions, and retention phase (A2) for 3 session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task performance rate of buying school-supplies and amount of assistance. In the intervention phase,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were provided, but during the baseline phase and retention phase,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were not provided.
◉ Results :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the intervention phase which is using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showed increased task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assistance has decreased. Moreover, task performance continuously maintained during retention phase.
◉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buying task performance. Accordingly, visual cues along with self-modeling can be used on improving independ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III. 연구결과
  1.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학용품 구매훈련의 과제 완수율 변화
  2. 중재 기간 동안의 도움의 양 변화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상윤(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Cho, Sang-Yoon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