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벼 포장에서 멸구류 3종의 발생 양상 KCI 등재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Planthopper Species in Rice Fields in Bangladesh, Cambodia, Thailand and Vietn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6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AFACI 회원국 4개국의 수도작 포장의 멸구류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황색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조사 지점에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흰등멸구의 발생량은 적은 편이었다. 애멸구의 발생은 없었다. 분얼기부터 호숙기까지 벼 멸구류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와 다르게 1~2회의 발생 최성기(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벼멸구의 경우 모든 조사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스리랑카의 Svay Reang에서 조사기간 동안 평균 1,673마리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글라데시의 Dobila, Hamkuria, 남베트남의 Cho Gao가 각각 1,236마리, 818마리, 666마리 순이었다. 흰등멸구의 경우 조사지점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방글라데시의 Dobila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평균 1,163마리가 발생하였으나 남베트남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s promoting the AFACI IPM (Asian Food & Agricultural Cooperation Initiative program). AFACI consist of 12 countries including Bangladesh, Cambodia, Thailand, Vietnam and so on. The main goal of the AFACI IPM project is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network for the best management of migratory rice planthoppers and setting database of pests occurrenc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uvey, Planthoppers were increasing all the way from tillering stage to ripe stage and do not appear to be peak of one or two like korea case. In detail, 1,673 of BPH (Nilaparvata lugens) occurred in survey site of Svay Reang, Cambodia, followed by 1.237 at Dobila, Bangladesh. In the case of White 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1,163 of WBPH occurred in survey site of Dobila, Bangladesh and 849 WBPH were collected at Hamkuria, Bangladesh. It is expected to verify the occurrence and movement patterns of hoppers among member countri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조사 지점
  2. 조사 방법 및 시기
 Ⅲ. 결과 및 고찰
  1. 벼멸구의 발생소장
  2. 흰등멸구의 발생소장
 Ⅳ. 적 요
 References
저자
  • 박부용(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농업연구사) | Park, Bue-Yong Corresponding author
  • 이상구(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Lee, Sang-Ku
  • 박홍현(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Park, Hong-Hyun
  • 전성욱(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Jeon, Sung-Wook
  • 정인홍(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Jeong, In-Hon
  • 박세근(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Park, Se-Keun
  • Md. M. Hossain(방글라데시 국립농업연구소)
  • C. Sovandeth(캄보디아 농업청 식물검역위생국)
  • W. Rattanakarn(태국 농업협력부)
  • P. T. Vuong(베트남 국립식물보호연구소)
  • H. V. Chien(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