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려시대 등촉구의 유형과 특징 KCI 등재

Stu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amp and Candlestick in Goryeo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등촉구(燈燭具)는 등 또는 초를 사용하여 불을 밝히는 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등촉구의 종류를 크게 등과 초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광명대(光明臺), 초를 사용하는 촛대 [燭臺]와 번(燔)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등(燈)은 인간의 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류와 함께 등을 사용하기 위한 등촉구도 발달하였다. 불교에서는 등을 중요한 공양물로 인식 하였는데 지혜의 상징으로 광명을 통해 어리석음의 어둠을 없앨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등공양을 통해 무한한 공덕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성불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부터 다양한 등촉구가 발견되었고 한대(漢代) 부터 초의 사용이 나타난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등공양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며, 통일신라에 들어서 등촉구를 찾아 볼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는 燈具 이외에도 초의 생산이과 함께 촛대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 등촉구를 광명대, 촛대, 번으로 나누어 각 유형을 분류하고 시기별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광명대는 일반적으로 받침의 모습에 따라 삼족형과 안상형으로 나누고, 특수하게 간주에 쌍사자가 표현된 쌍사자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촛대는 받침의 모습에따라 안상형과 삼단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번은 초꽂이가 둥근기둥으로 그 안에 초를 세우는 입촉형, 초꽂이가 針으로 나타나 초를 끼우는 삽촉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제작 시기에 따라 다른 특징과 양식의 변천이 나타나기도 한다. 고려시대 등촉구에 나타나는 명문과 동반출토유물을 통해 사찰에서 등공양구로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Deungchokgu(燈燭具, Lamp and Candlestick) in times of Goryeo dynasty period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Gwangmyeongdae which uses both light and candle, candlestick which lights up by using candle and a ‘bern’(燔, a kind of Candle holder). In case of Deungchokgu in times of ancient China, its forms and materials vary considerably, and the candlestick affected by this appear luxuriously in times of Unified silla. In addition, Gwangmyeongdae(光明臺, a kind of lamp combined with candlestick) in Unified silla continues its frames through Goryeo dynasty period as its origin. However, it looks similar to Gwangmyeongdae since it is made up of base, bamboo stem type pillar and candlestick holder. Candlesticks in times of early Goryeo dynasty period had Ansang(眼象) decorated. ‘Bern’ is a kind of relatively unfamiliar Deungchokgu, having the shape of enlarged sconce, and can be seen in Goryeo Buddhist paintings. The inscriptions engraved in bronze ‘bern’, Mujamyeong Relic of Beopcheonsaji indicates these kinds of craft-works are ‘bern’. Deungchokgu in Goryeo period which has been passed down as of now seems to have been manufactured mostly for the display on Buddhist altar in temples. Deungchokgu in Goryeo period continues that of Unified silla influenced by China, thereby securing Goryeo’s own unique domain from the exchange with metal craft-works in the same perio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대 등촉구의 전개
 Ⅲ. 고려시대 등촉구의 유형과 변천
 Ⅳ. 고려시대 등촉구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조현이(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졸업, Dongguk University) | Jo hyun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