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왕실 제작 玉冊 內函의 편년과 활용 KCI 등재

The Production Year and Utilization of Ok-Chak Nae-Ham made by Joseon Dynasty

조선왕실 제작 옥책 내함의 편년과 활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조선 왕실에서는 왕비나 세자의 책봉(冊封) 그리고 상존호(上尊號)를 위한 상옥책(上玉 冊) 의식을, 국가적 행사로서 성대하게 치르고 이를 의궤(儀軌) 기록으로 남겼다. ‘상옥책’ 은 왕실에 관한 공덕과 찬사의 글을 옥간(玉簡)에 새기고 이를 금분으로 메워서 옥책(玉冊) 으로 엮은 것을 올리는 의식이다. 즉 의식의 주된 내용이 옥책의 내용을 낭독하고, 이를 함 (函)에 담아 봉(封)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여기에 사용되었던 함은 二重의 함으로 내함(內函)과 외함(外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내함은 매우 특별하게 제작되었다. 주칠함(朱漆函)에 니금(泥金)으로 화려하게 장식 되어, 조선 시대 사가(私家)에서 사용한 함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그 내함이 국립고궁박물관에 250여점 현존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옥책 내함의 제작 시기를 밝혀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공예사적 회화사적인 변화양상과 옥책 내함이 의례품으로서 갖는 역사적 의미에 관한 발표자의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옥책 내함은 왕권 강화의 의미와 관련한 왕실공예품이며, 목 공예 금속공예 칠이나 섬유 공예, 니금 그림의 회화사적인 측면에 이르는 다양한 정보를 주는 중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더하여 여기서 중점할 내용은, 옥책 내함의 시대별 변화양상을 동시대 제작으로 추정되는 내함 外의 다른 국가 제작 함(函)과 비교 검토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앞선 연구에서 옥책 내함의 시기별 변화양상의 흐름을 밝힌 바 있는데, 그것은 뚜렷한 구분을 보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동시대 흡사한 제작 방식을 갖는 다른 목조함의 제 작시기를 추정하는 근거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시도하였고, 이것은 제작시 기 파악이 어려운 목공예의 편년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은 한정된 수에 불과하여 그 연구의 시작이지만,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비교 대상의 확장과 더 나아간 다각도의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In Joseon Dynasty, the royal ceremony took place for the crowing of the queens, princes, and eulogistic titling of the royal ancestors including the kings, and afterwards its records remained on the Royal Protocols. The core process of the ceremony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to read aloud Ok-Chak which is consisted of the pages written of the royal contributions and eulogies with the decoration of the golden tapes, and to put it in the case, and to seal it in. The case used here was double, i.e. consisted of the inner and outer ones. Especially, the inner one was made very significantly. The feature that it was decorated gorgeously with scarlet lacquer and golden powder makes it distinguished remarkably from the ones used in the private family of the Joseon. It is paid attention by the differentiated item of the royal ceremony completed in the collaboration of painters and craftsmen with the priceless materials. Now about 250 Ok-Chak Nae-Ham are passed down, which is not only very special antiques produced for the royal ceremony, but also can tell us th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wood craft, metal craft, lacquer painting or textile, the art-historical painting with golden powder on the surface as an artifact showing the production year. The enormous bibliographic data called the Royal Protocols supporting it adds the priceless value of the study on Ok-Chak Nae-Ham. I had just reviwed only on 120 Ok-Chaks of which production year I had tried to assume additionally and studied the stylistic development of the Inner Cases of the 120 pieces. Now this report focuses on the fact that Ok-Chak Nae-Ham could be utilized in reconstructing the chronology of wooden crafts made for the royal court other than the Inner Cas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hronology of the Inner Cases of the Books Made of Jade illuminates the art-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ner Cases as well as their historical value by investigating the role they played, the importance they carried, and the ways in which they were produced. For this one, making a comparative study with “Box in Portrait Drawing” which were assumed to 17th 18th 19th centur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국가 의례와 옥책 내함
 Ⅲ. 옥책 내함의 시기별 양식 변화
 Ⅳ. 옥책 내함 편년 연구의 활용
  1. 17세기 유효걸(柳孝傑, 1594-1627) 영정함
  2. 18세기 오명항(吳命恒, 1673-1728) 영정함
  3. 19세기 고궁박물관 소장 흑장궤(黑長櫃)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미라(문화재청, Cultural Heritage) | Kim Mi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