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진출 한국계 은행의 지속가능 실내건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국제온돌학회 (International Journal of Ondol)
초록

한국과 중국은 근 20년간 수교를 하고 있고, 2001년 중국의 WTO가입으로 인해 양국 간의 금융산업의 교류도 확대되어 왔다. 한국의 은행들도 중국시장에 뛰어 들었고 현재 계속해서 그 수를 늘려가는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내에 한국계 은행의 사례조사를 통해서 건축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먼저 한국의 문헌자료를 기초로 최근 발표된 연구논문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발행된 저널과 통계연감 및 관련 보고서를 참조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내 한국계 은행에 관한 건축적인 자료가 부족해 은행 개설시 문제가 있음을 인지해, 중국내 한국계 은행을 개설할 때 도움을 주고 은행의 건축계획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공간구성의 특성을 정리하자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지리적 입지 측면에서 영업점이 도시의 요충지에 있어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만회하고 있다. 이는 입점건물의 이미지와 관리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이유가 된다. 둘째, 공간기능적 측면에서 고객을 우선시한 동선계획을 적용해 고객을 위한 서비스공간을 많이 배정해 휴식공간으로서 느낄 수 있고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업무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내 한국계은행의 건축공간계획 특성에 대해 고찰하여, 은행점포의 건축계획 시 단순히 사용자에게 영업을 하는 공간이 아니라 공간사용자에게 결정의 변화와 행동의 변화, 아울러 심리적인 안정까지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은행의 일반적 고찰
 3. 한국계 은행의 중국진출현황
 4. 중국내 한국계 은행의 공간구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준봉(북경공업대학교)
  • 옥종호(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김정아(북경공업대학교)
  • 황연숙(나래안 건축사무소)
  • 송미영(중국 포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