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두개의 과제에 의한 무작위 연습의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Magill과 Hall (1990)의 다른 운동 프로그램(DMP)을 사용한 과제의 실험에서만이 맥락간섭 효과를 볼 수 있고 같은 운동 프로그램(SMP)을 사용한 과제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주장을 검증하는데 있다. 파지와 전이 단계에서의 무작위 연습의 효과는 실험적 연구와 스포츠 현장에 적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맥락간섭효과의 연구들을 토대로 Magill과 Hall (1990)은 맥락간섭효과의 정도는 피험자에게 요구된 과제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가정하였다. 다른 운동프로그램을 과제로 사용한 많은 연구들이 맥락간섭의 효과를 보였지만 몇몇 연구들은 같은 운동 프로그램을 과제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 프로그램의 변인과 맥락간섭의 효과의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다른 운동 프로그램은 같은 운동 프로그램의 과제와 비교하여 보다 복잡하고 요구된 환경에 반응하는 과제로 높은 수준의 맥락간섭을 보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최근에 Giuffrida, Shea, 그리고 Fairbrother (2002)는 연습스케줄과 일반화된 운동 프로그램의 연구에서 다른 운동 프로그램의 과제가 요구 되었을 경우에 보다 더 무선적 연습(serial practice)의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볼을 손으로 잡는 동작과 매트에 스텝핑 하는 동작을 과제로 사용하여 다른 운동 프로그램의 요인을 충족하여 주었다.
48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들이 피험자로 선택되었고 과제는 Bassin`s Timer를 사용하여 요구된 시간에 볼을 잡거나 매트에 발을 스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디자인은 2(연습방법) X 2(운동 프로그램) X 3(분단 횟수)이고 결과는 4개의 종속변인(항상오차, 절대오차, 가변오차, 절대항상오차)에 대하여 DM M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에 명확한 맥락간섭의 효과를 보여 Magill과 Hall (1990)의 가정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무작위 연습의 유리함을 발견하지 못한 몇몇 맥락간섭 효과 연구들의 과제를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hypothesis by Magill and Hall (1990) which predicated no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when task variations of the same motor program was practiced. The advantage of a random practice order for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as compared to a blocked practice order has been noted in the laboratory situations and sport situations. With reviwing of contextual interference studies, Magill and Hall (1990) hypothesized that the amount of contextual interference can be influenced by kind of the responses subjects are asked to organize. Many studies using different motor programs(DMP) in the responses and consistently found the contextual interference but other studies that required the same motor program(SMP) for the responses, was supported the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empirically test the factor of motor programs and contextual interferenc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whether different motor programs create a higher level of contextual interference in a more complex learning environment and produce retention and transfer performance for both the blocked and random conditions as compared using same motor programs. Recently, Giuffrida, Shea, and Fairbrother (2002)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actice schedule and development of the generalized motor program, and reported that a serial compared to a blocked practice schedule was superior when the performance of a task governed by a different motor program was required.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the task variations different motor programs were clearly determine by movement of pushing the ball and stepping on the mat.
Forty-eight right hande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tasks were either used their right hand to push a ball or used their right foot to step on a mat situated under the table using a Bassin Coincidence Anticipation Timer. These procedures designed in a 2 (Acquisition context) X 2 (Motor program) X 3 (Trail block) DM MANOVA desi후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Dependant variables were constant error, absolute error, variable error, and absol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