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분석 KCI 등재

Structural validly of the Modified Sensation Seeking Scale(MSSS) and discriminant analysis on the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감각추구척도의 개발(MSSS)과 구조적 타당화의 검증, 그리고 스포츠 참가에 대한 감각추구척도의 예측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개발된 감각추구척도는 4요인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스릴과 모험추구, 경험추구, 권태민감성, 탈제지). 이 척도의 문항들은 사전연구와 일련의 문항검토 및 내용분석 과정을 통하여 수정보완 되었으며, 기술적 통계분석(N=319)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30문항으로 축소되었다. 수정지수를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N=327)는 4요인 28문항의 수정된 감각추구척도의 구조적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스포츠 참여에 대한 감각추구 척도의 예측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된 판별분석 결과는 남자는 스릴과 무험추구와 탈제지가, 여자는 탈제지, 모험과 스릴추구 그리고 권태민감성이 스포츠 참여자와 비참여자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감각추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스포츠 활동참여 연구에 수정된 감각추구척도의 사용 타당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opensity for sensation seeking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to decide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This paper is designed for verifying the structural validly of the sensation seeking scale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in general psychology field by Zuckerman, and assesses the predictive ability of sensation seeking scale in sports participation. The sensation seeking scale consists of four scales with forty questions (TAS; Thrill & Adventure Seeking, ES; Experience Seeking, BS; Boredom Susceptibility, DIS; Disinhibition). The questionnaire from the scales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tents analysis, and reduced to thirty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om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Utilizing modified index, structural validly of MSSS was confirmed through four scales twenty-eight questions (GFI; .90, CFI; .91, TLI; .91, RMR; .04).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o examine the predictive ability of sensation seeking scale on sports participation, sensation seeking factors to discriminate between participators and non-participators were TAS and DIS among male and DIS, TAS and BS among femal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MSSS is valid in the studies on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Yoo Jin (Chung-Ang University)
  • 강필중(중앙대학교) | Kang Pil-Joung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