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포츠심리학 연구의 이론적 패러다임 탐색 KCI 등재

Exploration of Theoretical Paradigms for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지난 50여 년간의 스포츠심리학 연구에서 주류를 이룬 이론적 패러다임을 문헌을 통하여 분석 고찰하고 미래 방향을 보색해 보았다. 1950-1960년대에는 일반 심리학의 조류에 따라 개인특성을 강조하는 기질론적 접근이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크게 지배하였으나, 곧바로 상황과 학습을 강조하는 메카니스틱 행동론이 뒤를 따랐다. 특히, S-R 메카니스틱 접근에 의하여 발달된 욕구이론과 사회적 촉진론은 다양한 각성-수행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1970년대 인간의 사고가 행동을 지배한다는 인지-행동적 접근은 스포츠심리학 연구에 응용되었으며, 사회적 요인과 결부하여 개인의 사고와 믿음의 상호 작용적 과정을 이해하려는 사회인지적 접근이 1980-1990대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 내에서 사람간의 생물, 인지,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려는 생태학적 접근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스포츠 행동의 역동성과 복잡성은 전통적 과학의 패러다임에 의해서 이해되기 어렵다. 미래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다양한 문화와 공동체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학문적 지식체들을 통합하여 스포츠 상황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패러다임이 기대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oretical paradigms that consisted of mainstream in sport psychology research during the past 50 years, and explored some theoretical aspects for the future of sport psychology. In 1950-1960s, parallelling to general psychology, the dispositional approach emphasizing person as behavioral mechanism dominated over most sport psychology studies. However, mechanistic behaviorism emphasizing situation and learning immediately followed. Particularly, the drive and social facilitation theory based on Hullian S-R mechanistic approach put forth many theoretical aspects to explain the arousal-performance relationship. In 1970s,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hat individual` though processes would drive behavior gained increasing prominence within sport psychology. Furthermore,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became the most dominant theoretical framework in mainstream sport psychology in 1980-1990s. This approach focuses on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as a source of behavioral regulation, emphasizing individual`s cognition. Recent literature in sport psychology proposed the ecological meta theory that stressed behavior and person in context, with greater emphasis on the specific sport environment. In conclusion, an integrative vision in sport psychology in the 21C was suggested.

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Yoo Jin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