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Job Burnout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 탈진의 관계를 규명하고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 탈진의 관계에 대한 관계-구체적 사회적 지지의 중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도에 소재한 초, 중등학교에 근무하며 학급담임 또는 체육수업을 지도하면서 동시에 운동부를 감독하고 있는 남자교사 200명을 임의 표집한 후 우편을 통하여 역할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직무 탈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159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rnoid(1982)가 제안한 하위집단 상관분석 절차에 따라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련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역할 스트레스가 직무 탈진에 영향을 주며 둘째, 사회적 지지가 직무 탈진에 미치는 역할 스트레스의 효과를 완충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는 스트레스 완충 효과에 기초하여 논의되었으며, 스포츠 장면에서 직무 탈진의 순차적 심화과정에 토대를 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le teacher-head coaches of Chungcheongnam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using mailing survey. In the 164 questionnaire returned, 5 samples were discarded for the poor answer.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159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ere analyzed according to Amold`s(1982) sub-group correlation analysis procedur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higher role stress, teacher-head coaches experience the greater job burnout.
Second, social support has buffering effects between role stress and job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were discussed in terms of stress buffering effect. Future research will be ncouraged to investigate the phase model of job burnout in sport and exercise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