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동자세 제어의 발달 : 인지과제 수행시 감각통합 변화를 중심으로 KCI 등재

Automatic Postural Control across the Life Span : Focus on Postural Control during Cognitive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인생전반에 걸쳐 인지 과제 수행 중 자동자세와 감각통합 반응의 발달과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을 Posturography를 통해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노인들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획득하는데 있다. 건강상의 문제가 없으며 어떤 형태의 대근감각, 인지적 또는 신경손상이 없는 남·녀를 대상으로 만 8세에서 75+세에 걸쳐 6개 연령층을 각각 15명식 무선 표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8-9세, 14-15세, 20-25세, 40-45세, 65-74세, 75세+). 피험자들은 인지과제 수행과 인지과제 수행 없이 지면반력기 위에서 6가지 조건을 1회 20초씩 각 3회 시행하여 복합평형점수, 조건별 평형점수, 감각분석, 동작전략, COG 정렬 등의 감각구성에 대한 점수들이 획득되었다. 운동제어 검사는 지면반력기의 6가지 움직임 변화에 대한 체중분배, 잠복기, 진폭 등이 획득되었고 발바닥의 아래쪽이동과 발바닥의 위쪽이동에 대한 적응점수 등이 획득되었다. 실험 결과 종합 평형성, 조건별 평형성, 감각분석, 전략, COG정렬, 잠복기, 적응도, 등에 대해서 연령증가에 대한 변화가 인지과제 수행 여부에 관계없이 나타났다. 그러나 그 변화는 인지과제 수행시 노인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나났다. 노인의 자세제어 능력은 다른 연령집단과 비교하여 볼 때 인지과제 수행시 자세제어를 위한 종합적인 감각 통합과 이에 따른 전략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이런 차이가 궁극적으로 많은 낙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동자세 반응에서 신경전달 속도와 적응면에서도 그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의 낙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경계의 쇠퇴, 인지과제와 관련된 부적적한 감각통합, 그리고 돌발적인 상황에서의 자세제어 전략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연구결과는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utomatic postural control and sensory integration during cognitive task across the life span using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falling. Total 90 subjects from 6 age groups(8-9, 14-15, 20-25, 40-45, 65-74, 75+years: N=15 for each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do not have any neurological impairments, gross, and cognitive impairments. For sensory organization test, composite equilibrium score, 6 equilibrium score, sensory analysis, strategy analysis, and COG alignment were obtained with cognitive task and without. For motor control test, weight symmetry, latency, variability of latency, amplitude, and adaptation score for toes up, toes down conditions wer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composite equilibrium score, sensory analysis and COG alignment, latency, adaptation, dynamic and static with closed eyes were more changed with age during cognitive task. For older adults, there was overall difference in sensory integration for postural control, sensory integration, movement strategies for recovery balance during cognitive task.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differences might be a possible explanation why older adults have more falling compare to young adults. Results also showed that nerve conduction speed of automatic postural response for old adults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age group.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and composite program exercise program to help CNS aging during cognitive task and strength for preventing falling.

저자
  • 허진영(단국대학교) | Heo Jin-Yung (Dank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