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타 인지학습전략을 통한 운동학습 방해 요소 통제 KCI 등재

The Effects of Meta Cognitive Learning Strategy on the Control of Visual and Auditory Distrac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메타 인지학습전략이 운동수행 중에 나타나는 학습방해 요인을 통제하여 운동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사격에 사전 경험이 없는 50명의 여자 중학생으로 학습전략 집단, 학습전략 + 빛 자극 집단, 학습전략 + 소리 자극집단, 학습전략+ 빛·소리자극집단, 통제집단에 각 10명 씩 무작위로 배당되었다. 피험자의 시각방해를 위해 사용된 기구는 Nova-strobe(미국), 청각방해를 위해 사용된 기구는 워크맨이었다. 독립변수는 Singer(1988)가 개발한 메타인지 전략을 사용한 다음 각각의 방해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메타전략의 구성요소는 (1) 준비하기, (2) 상상하기, (3) 집중하기, (4) 실행하기, (5) 평가하기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실험과제는 Scatt System을 사용하여 표적지로부터 5m 떨어진 곳에서 10초 이내로 사격을 하는 것이었다. 사격은 습득단계 4분단 파지단계 2분단에서 각 분단 당 5회, 전체 30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메타인지학습전략을 처치한 집단이 방해를 받았음에도 블구하고 통제집단보다 운동 수행과 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논의 부분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a cognitive learning strategy on the control of visual and auditory distractors to enhance learning and performance. Fifty subjects(female=50) who had not experienced in shooting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ir ages ranged from 14 to 16, with a mean age of 15.6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ive conditions(Five Step Strategy group, visual distraction group, auditory distraction group, audio and visual distra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catt System(Russia) and Feinwerkbau 45mm(Germany) air pistol. Target was located at a subject`s chest high and 5m from the subjects. Nova-strobe(U.S.A) was used to provide subjects for auditory distraction(75-85db).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eta cognitive learning facilitated performance and learning. Subjects in the auditory distraction group showed more increment in error than other experimental conditions. Interestingly, visual distraction coupled with auditory distraction seemed to be better than the auditory distraction group. Based o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an auditory stimulation in learning would be more harmful factor than a visual stimulation.

저자
  • 이현애(경북대학교) | Lee Hyun A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상택(경북대학교) | Chung Sang Tac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진구(경북대학교) | Kim Jin 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안수(경북대학교) | Lee An S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