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정을 표현하는 요가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a Yoga Program of Expressing Emotion on a College Woma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lasti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감정을 표현하는 요가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정을 표현하는 실험 요가집단(62명)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자신의 느낌, 감정을 표현하게 하였으며, 비교집단(57명)으로 감정의 표현 없이 같은 내용의 요가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57명)은 일반교양 이론수강생으로 하였다. 세 집단 모두 15주간 진행되었다. 분석방법은 t-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 그리고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감정을 표현하는 요가 프로그램은 정서지능요인 중 정서표현과 정서활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 요가 프로그램은 감정이입과 정서조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을 표현하는 요가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의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요인에서 일반 요가 프로그램,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 또는 스포츠 상황에 정서를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운동의 심리상담적 치료효과를 보다 더 높이고, 건강운동심리학의 새로운 연구와 현장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a yoga program of expressing emo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college woma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lasticity. The experimental yoga group(62) expressing emotion were made to express their own feelings and emoti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arted, comparative group(57) to experience the program with the same contents not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and control group(57) to consist of students taking general culture theory. All of the three groups had lasted for 15 weeks. I analyzed them by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I made a post-hoc test using Scheffe`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05. The study showed that a yoga program of expressing emo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use among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a general yoga program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Also, it showed that the former program made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of self-elasticity, effici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n optimistic attitude than the latter and control group. I want to be slightly suggestive stimulating the direction of study of heighten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physical exercise as psychological counselling by expressing emotion as a language in an exercising or sports situation and pioneering a new stage of health exercise psychology, and the fields of using the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절차 및 요가 프로그램 구성 내용
  3. 조사도구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감정표현 실험 요가집단, 비교 요가집단,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2. 감정표현 실험 요가집단, 비교 요가집단, 통제집단 간의 자아탄력성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육영숙(성신여자대학교) | Yook Young-Sook (Sungshin Won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