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주택 가정환경 수정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자세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ADL performance posture after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 dwelling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 수정이 농촌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시 부적절한 자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2개월간 춘천시 서면 안보1리에서 실시한 주거환경 수정 대상 중 요통과 관절염이 있는 노인 2가구를 선정하여 가정환경 수정 전․후 인간공학적 평가인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OWAS(Ovaco Working-posture Analysis System)를 실시하여 근 골격계 부담이 감소되 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 대상자 1 가구의 가정환경 수정 전과 후의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좌변기 안전지 지대를 포함한 3가지 항목에서 RULA, REBA, OWAS의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대상자 2 가구의 가정환경 수정 전과 후의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좌변기 안전지지대를 포함한 5가지 항목에서 RULA, REBA, OWAS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가정환경 수정 전․후에 인체공학적 평가를 실시 한 결과 대상가구 모두에서 가정환경 수정 후에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위험도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 수정의 효과를 인간공학적 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find out how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caused inadequate change of posture when performing ADL.
Methods : This research was to confirm the reduction of musculoskeletal burden by taking effect of OWAS, REBA, and RULA, which are ergonomic evaluation applying two chosen household with low back pain and arthritis. They were chosen amo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participants held in Chuncheon-si for two month from April to June, 2011.
Results : Participant 1, after applying ergonomic evaluation with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every score of RULA, REBA, and OWAS has fall in three headings including toilet safety bars. Participant 2, after applying ergonomic evaluation with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every score of RULA, REBA, and OWAS has fall in five headings including toilet safety bars.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of ergonomic evaluation before and after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the risk by inadequate posture has decreased after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 all participant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since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has been identified by objective results of ergonomic evalu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2. 평가방법
  3. 평가도구
  4. 주거환경 사정
 III. 연구결과
  1. 주거환경 수정
  2. 주거환경 수정 전, 후인간공학적 평가결과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덕연(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재활보조기술 연구과) | Cho Duk-Youn (Dept. of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ies, N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 조현경(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Jo Hyun-Kyung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김지예(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Kim Ji-Yea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최윤미(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Choi Yoon-Mi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