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KCI 등재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4권 제1호 (2012년 10월) 9

1.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 수정이 농촌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시 부적절한 자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2개월간 춘천시 서면 안보1리에서 실시한 주거환경 수정 대상 중 요통과 관절염이 있는 노인 2가구를 선정하여 가정환경 수정 전․후 인간공학적 평가인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OWAS(Ovaco Working-posture Analysis System)를 실시하여 근 골격계 부담이 감소되 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 대상자 1 가구의 가정환경 수정 전과 후의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좌변기 안전지 지대를 포함한 3가지 항목에서 RULA, REBA, OWAS의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대상자 2 가구의 가정환경 수정 전과 후의 인간공학적 평가 결과 좌변기 안전지지대를 포함한 5가지 항목에서 RULA, REBA, OWAS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가정환경 수정 전․후에 인체공학적 평가를 실시 한 결과 대상가구 모두에서 가정환경 수정 후에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위험도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 수정의 효과를 인간공학적 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4,300원
2.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농업인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며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농작업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통하여 농업인들의 컨설팅 만족도 및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강원도 W지역 복숭아 농가 중 23가구를 대상으로 6월∼10월 4개월에 걸쳐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 사전 평가로 농작업 동작평가, 기존장비의 만족도 평가, 편이장비 선정 시 고려하는 요소에 대한 평가, 통증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컨설팅 후에 지급된 장비의 만족도 평가, 통증평가, 컨설팅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후 통증평가 및 컨설팅 만족도 평가는 대응표본검정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기존에 운반작업에서 사용하는 장비로는 대부분이 수동식 손수레를, 제초작업에서는 작업자 신체에 설치하는 동력제 초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탑재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때문에 편이장비 지급 전에는 작업동작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유해요인이 발견되었고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도 높은 수준이었으며, 현재 사용 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편이장비 선정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수리 및 유지관리’였다. 시연회를 통해 편이장비가 지급된 후,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인 작업동작의 발생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 정도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1). 지급된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지급전에 비해 향상하였으며, 작업자 만족도와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의 컨설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한 편이장비의 인간공학 적인 개선은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연구에서는 좀 더 체계화된 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500원
3.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센덱스(시니어 및 장애인 엑스포) 박람회에 참석한 일반인에게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을 물어보는 설문을 실시하여, 총 174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박람회 및 설문지가 보조공학기기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한 결과, 대상자의 85.0%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8%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부에서 지급하는 보조공학기기를 알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45.7%만이 알고 있다고 대답하여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홍 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4,000원
4.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조의자 및 손 보조도구를 통하여 칸나반병 아동의 미리쓰기(pre-writing)에 필요한 손기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의 카나반병 아동으로 8주간, 주 3회, 회당 20분의 고전적 작업치료 및 10분의 손 보조도구를 착용하여 실시하였다. 치료시간 30분 동안 아동은 보조의자에 계속 앉아 있었다. 아동의 발달력, 손기능 및 시지각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치료 전, 치료 4주 후, 치료 8주 후로 총 3번에 걸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한국판 덴버 발달 판별 검사(K-DDST)의 미세운동-적응 영역에서 2개월의 수준 향상을 보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에서 일반적 시지각 지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운동감소 시지각 지수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시각-운동 통합 지수에서도 향상을 보여 손기능의 정확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결론 :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중재를 한 결과 손기능 및 시지각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는 이러한 증례가 보고된 적이 없기에, 저자들은 카나반병 아동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조도구 사용 전후 아동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4,000원
5.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완전척수손상자(C5∼C6) 3명을 대상으로 목과 상지의 근활성도, 근골격계의 피로인지도, 그리고 보조도구로 인한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3명의 척수손상자는 손바닥 지지용 키보드 포인터를 착용한 채 두 가지 작업대(일반책상,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에서 5분간 초 당 1타 정도의 속도로 문서 입력 작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동안 목세움근, 위 등세모근, 중간 등세모근, 그리고 손목 폄근군의 근활성도(%RVC)를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의 불편함은 Borg RP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OPM은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작업수행 증진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사용하였다. 결과 :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사용한 결과 목, 어깨, 그리고 손목폄근군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피로인지척도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COPM의 작업수행도와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결론 : 일반책상과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비교한 결과, 척수손상자의 키보드 입력 작업시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가 유용 하였다. 이러한 과제 조정은 척수손상자의 상지 통증과 누적외상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기능수준의 척수손상자를 위한 인간공학 도구의 개발과 객관적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4,200원
7.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Tetrax(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를 이용하여 맨발, 운동화, 킬힐의 착용에 따라 균형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8월 31일~9월 7일 D대학에 재학 중이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균형평가는 Tetrax를 통해 시각과 체성 감각의 유무, 머리의 좌우와 앞뒤의 변화를 요구하는 8개의 자세에서 검사를 시행하였고, 맨발, 운동화, 킬힐은 무작위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킬힐을 착용했을 때 안정성 지수(Stability index)가 맨발 또는 운동화 착용보다 높았고, 체중 분포 지수(Weight distribution index)는 정상치 범위보다 낮았으며, 낙상 지수(Fall index)는 위험범위에 속하였다. 결론 : 킬힐을 착용했을 때 맨발이나 운동화보다 자세불안정으로 인하여 낙상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아동을 대상으로 독립변 인인 Interactive Metronome®(IM) 중재를 실시했을 때, 실시 후에 종속변인인 주의집중력에 속하는 충동적인 반응 감소와 집 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관련검사에서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일사례 연구(Single-case research) 방법 중 ABA 디자 인을 적용하였다. 2011년 8월 12일부터 9월 25일까지, 약 7주간 기초선(A) 3회기, 중재선(B) 15회기, 유지선(A') 3회기를 시행 하였다. 평가로는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 K-CBCL),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 : CNT), IM의 Long Form Test(LF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IM Short Form Test(SFT)를 중재선 회기동안 훈련 이전에 실시하여, 기준음(reference sound)과 안내음 (guide sound)을 구분하는지 그리고 점차적인 집중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ADHD 아동의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관찰 측정, 전산화신경인지기능 검사, K-CBCL, 그리고 IM LFT의 결과들은 각각 표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과제수행에 따른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빈도수는 22.6회에서 7.8회로 감소하였고, IM LFT에서 운동과제 평 균치는 104.0ms에서 49.5ms로 시간이 감소하였다. CNT의 항목 T점수들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K-CBCL의 하위 항목의 T점수들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IM 중재가 ADHD 대상자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더 객관적이고 일반화 가능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800원
9.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운전 수행 기능을 평가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수행에서 숙련운전자, 초보운전자, 비운전자 간의 차이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에 소재한 K대에 재학 중인 32명의 대상자들을 경력운전자, 초보운전자, 비운전자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10월에 실시되었으며, 모든 대상자들에게 Assessment of Driving-Related Skills(ADReS)와 STISIM Driving Simulator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정지반응 속도에서 초보운전자와 비운전자 집단에서 경력운전자에 반해 반응시간이 늦은 것을 확인하였다 (p<.05). 대학생의 운전 수행기능과 사고들의 상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시력을 중심으로 정지반응 시간(-.434)과 중앙선 침범 (-.526)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어 대학생의 운전 수행에 있어 관련이 깊은 요인임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 초보운전자들에게는 정지반응 속도와 시력저하로 인하여 사고발생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훈련이 필요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