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의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e Disorder(ADHD) Chi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아동을 대상으로 독립변 인인 Interactive Metronome®(IM) 중재를 실시했을 때, 실시 후에 종속변인인 주의집중력에 속하는 충동적인 반응 감소와 집 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관련검사에서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일사례 연구(Single-case research) 방법 중 ABA 디자 인을 적용하였다. 2011년 8월 12일부터 9월 25일까지, 약 7주간 기초선(A) 3회기, 중재선(B) 15회기, 유지선(A') 3회기를 시행 하였다. 평가로는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 K-CBCL),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 : CNT), IM의 Long Form Test(LF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IM Short Form Test(SFT)를 중재선 회기동안 훈련 이전에 실시하여, 기준음(reference sound)과 안내음 (guide sound)을 구분하는지 그리고 점차적인 집중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ADHD 아동의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관찰 측정, 전산화신경인지기능 검사, K-CBCL, 그리고 IM LFT의 결과들은 각각 표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과제수행에 따른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빈도수는 22.6회에서 7.8회로 감소하였고, IM LFT에서 운동과제 평 균치는 104.0ms에서 49.5ms로 시간이 감소하였다. CNT의 항목 T점수들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K-CBCL의 하위 항목의 T점수들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IM 중재가 ADHD 대상자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더 객관적이고 일반화 가능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Interactive Metronome®(IM), the independent variable, on decreasing impulsive behavior and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n ADHD child, both of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ttentive concentration, the dependent variable.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BA design among single-case research methods with one child who has been evaluated as ADHD-inclined by an ADHD-related test. 3 sessions of First Base-line(A), 15 sessions of Intervention Phase(B), and 3 sessions of Post Base-line(A') were conducted for about seven weeks, from August 12th to September 25th, 2011.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attentive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CNT), and the Long Form Test(LFT) of IM were conducted. Moreover, the LFT of IM was directed before the training during the Intervention session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child can differentiate between the reference sound and the guide sound and to examine the gradual changes in concentration. The observation data of the child's behavior indicating a lack of concentration and the results of the K-CBCL, CNT, and LFT of IM are presented below as graphs and charts for an analysis.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the behavior indicating a lack of concentration in performing the given task dropped from 22.6 times to 7.8 times, and the mean time taken to perform the exercise task also decreased from 104.0ms to 49.5ms. The T scores of the CNT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e T scores of the subordinate items of the K-CBC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 The intervention of IM has been proved to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attentive concentration of an ADHD child,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complemented through a more objective study that allows generaliz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설계
  3. 측정도구
  4. 실험장비 : Interactive Metronome®
  5. 치료방법 : Interactive metronome 훈련
  6. 종속변수
  7. 연구과정
  8. 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빈도수의 변화
  2. IM의 운동과제 평균치
  3. CNT로 측정한 집중력의사전․사후의 변화
  4. K-CBCL로 평가한 문제행동의사전․사후의 변화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선영(대전 보람병원 작업치료실) | Jang S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Boram Hospital)
  • 박지원(신촌세브란스 작업치료실) | Park Ji-W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Rehabilitation Hospital)
  • 이시원(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작업치료실) | Lee Si-W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Boramae Medical Center)
  • 이지혜(의정부 보람병원 작업치료실) | Lee Ji-H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Uijeongbu Boram Hospital)
  • 장경민(건양대병원 작업치료실) | Jang Kyoung-M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최빛나(RM병원 작업치료실) | Choi Bich-N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RM Hospital)
  • 김수경(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Su-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ㅍ)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