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 초보운전자의 사고예방을 위한 운전 수행 기능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Driving Performance Function for Accident Prevention of Beginning Drivers of Colleg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운전 수행 기능을 평가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수행에서 숙련운전자, 초보운전자, 비운전자 간의 차이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에 소재한 K대에 재학 중인 32명의 대상자들을 경력운전자, 초보운전자, 비운전자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10월에 실시되었으며, 모든 대상자들에게 Assessment of Driving-Related Skills(ADReS)와 STISIM Driving Simulator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정지반응 속도에서 초보운전자와 비운전자 집단에서 경력운전자에 반해 반응시간이 늦은 것을 확인하였다 (p<.05). 대학생의 운전 수행기능과 사고들의 상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시력을 중심으로 정지반응 시간(-.434)과 중앙선 침범 (-.526)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어 대학생의 운전 수행에 있어 관련이 깊은 요인임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 초보운전자들에게는 정지반응 속도와 시력저하로 인하여 사고발생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훈련이 필요하다.

Objective : By using the evaluation and simulation, the driving performance function is to be learn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skilled drivers, beginning drivers and non-drivers.
Methods : Students with Assessment of Driving-Related Skills(ADReS) and STISIM Driving Simulator from October in 2012. The subjects were taken for 32 students enrolled in K University in Daejeon to compare by dividing them into skilled drivers, beginning drivers and non-drivers.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eginning driver group and non-driver group had slower reaction time for stop response speed than the skilled driver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relativity of driving performance function and thinking process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noticeable relativity in vision-oriented stop reaction time and cross-over of center line that it is a profound factor with relations to the driving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Conclusion : For beginning drivers, it is feasible to have increased accident from stop response time and decline in visibility that it requires training.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과정
  4.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1. 운전 수행기능 평가
  2. 대학생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 수행
  3. 전체 대학생의 운전 수행기능과 운전수행의 상관관계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종식(대전재활병원 작업치료실) | Jang Jong-Sik (Daejeon Rehabilitation Center)
  • 한상우(서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an San-W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unam University)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