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결과지식 수준과 신체 및 관찰연습이 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Knowledge of Result Types and Physical & Observational Practices on a Timing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결과지식 수준(잘한 수행과 못한 수행에 따른 결과지식)과 신체 및 관찰연습이 시간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n=40)는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good 집단, 관찰_good 집단,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poor 집단, 관찰_poor 집단중, 하나의 집단에 10명씩 무선 할당되어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컴퓨터 키보드의 J와 F키를 이용하여 제시되는 시각정보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타이밍 과제이다. 9회의 사전연습단계 후에 네 개의 집단은 각각의 신체연습 집단이 수행한 3회의 시행 중, 가장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good 집단과 관찰_good 집단)과 가장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poor 집단과 관찰_poor 집단)을 받았다. 그리고 약24시간 후에 결과지식 제공 없이 파지 및 전이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이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검사에서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습득단계에서는 집단과 블록에 대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는 결과지식수준과 연습형태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습단계는 집단 간에 상대적 타이밍 및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습득단계에서는 연습이 진행됨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 잘한 정보를 받았던 good 집단이 poor 집단보다 상대적 타이밍 학습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적 타이밍 학습은 결과지식 수준과 연습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result types (good trial & poor trials) and physical & observational practices on learning in a temporal timing. Participants were 40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which consisted of 10 subjects, which were good_physical group, good_observational group, poor_physical group and poor_observational group. Experimental task is to match the length of the visual information using the 'J' and 'F' key of computer keyboard as temporal timing task. All Participants performed timing task at a pretest and the physical-practice groups (good_physical group and poor_physical group) performed a timing task at acquisition phase. After approximately 24 hours, all participants performed a retention and a transfer ph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errors at pretest phase. Secondly, the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errors were decreased overall at acquisition phase. Thirdly, the good_group resulted in superior retention and transf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oor_group. However, the absolute timing indicated no main effects on knowledge of result types (physical & onservational) or information types (good & poor), and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wo independent variabl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도구 및 과제
  3. 실험절차
  4. 자료분석
  5. 통계 분석
 Ⅲ. 연구결과
  1. 상대적 타이밍 오차
  2. 절대적 타이밍 오차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동진(전북대학교 스포츠과학산업연구소) | Park Dong-Jin (Institute for Sport Science 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한동욱(전북대학교 스포츠과학산업연구소) | Han Dong-Wook (Institute for Sport Science 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용운(경남대학교) | Kim Yong-Woon (Ky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