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사-동료의 자율성 지지와 무용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D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와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의 무용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교급 간 경로 동일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국내의 예술중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4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의 결과,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는 세 가지 기본욕구를 예측하였지만 유능성 욕구만이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동료의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지각된 동료의 자율성 지지가 자율성 욕구에미치는 영향력은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결과는 무용 맥락에서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는 유능성 욕구만족에, 유능성은 내적동기에 크게 기여하며, 중학생일수록 동료에게 자율성을 지지받을 때 자율성 욕구만족이 더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and intrinsic motivation which the students majoring dance at arts secondary schools, and carried out an invariance analysis of the model across school level. Participants were 425(24 boys, 401 girls) students studying dance at arts secondary schools. For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directly predicte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addition, only competence desir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intrinsic motivation partially, in contrast, competence desir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y support from peers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peers on competence desire was stronge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affected greatly to competence desire satisfact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felt higher autonomy desire satisfaction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when they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peers in dance context.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측정모형 평가
  2.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 구조모형 검증
  4. 집단 간 비교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오유진(중앙대학교) | Oh Yu-Jin (Chung-Ang University)
  • 유진(중앙대학교) | Yoo Jin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