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술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제공이 배드민턴 서브기술 학습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Interactive Effects of Self-Controlled Feedback and Skill Levels on the Learning of Badminton Serve Sk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서브기술 학습에서 학습자의 기술수준이 자기통제 피드백의 차별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하여 운동기술 학습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피드백 제시방법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고등학교 남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수업단계와 사전검사를 거쳐 기술수준별(상위, 하위)로 자기통제 그룹과 동반그룹에 각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습득단계는 2(기술수준)×2(피드백 유형)×6(분단)으로, 전이검사는 2(기술수준)×2(피드백 유형)×2(분단)의 반복측정 요인설계로 구성되었다. 분단을 반복측정하는 삼원변량분석이 사용되었고, 종속변인으로는 평균반경오차(MRE)와 이원변량가변오차(BVE)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평균반경오차와 이원변량가변오차에서 자기통제 그룹이 동반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오차 값으로 자기통제 피드백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이원변량가변오차의 전이검사에서 기술수준과 피드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상위그룹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그룹에서는 자기통제 피드백이 동반그룹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기술수준이 자기통제 피드백의 차별적 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o prove that the learner`s level is an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ing the distinct effect of self-controlled feedback. The test subjects were 120 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 group constituted of 40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high and low learning levels(10 self-controlled and 10 yoked) who were placed into the appropriat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training stage and pre-test. subjects were asked to practice badminton serve as a closed skill. The acquisition phase was made up of a 2(learner`s level)×2(feedback mode)×6(Block of trial) and the transfer test was made up of a 2(learner`s level)×2(feedback mode)×2(Block of trial)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 A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 were conducted. For dependent variables, a mean radial error(MRE), and a bivariate variable error(BV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Firstly, in according to the mean radial error and bivariate variable error the significantly lower error data that proved the self-controlled feedback group. Secondly, according to the bivariate variable error in transfer test, the interaction effect was visible respective to the learner`s level and feedback mode. In the low level group, self-controlled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in the yoked group.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s level is an important variance on the distinct effect of self-controlled feedback.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과제 및 도구
  3. 실험절차
  4. 실험설계 및 자료분석
 Ⅲ. 결 과
  1. 사전검사
  2. 평균반경오차(mean radial error)(MRE)
  3. 이원변량가변오차(bivariate variable error)(BVE)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상식(세종고등학교) | Kim Sang-Sik (Sejong Hing School)
  • 홍석범(연세대학교) | Hong Seog-Beom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