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약 안구 운동 과제를 통한 반응 복잡성 효과 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f Response Complexity Effect Using Saccadic Eye Movement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반응 복잡성 효과는 수행해야할 동작반응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반응시간의 지연이 반응 계획 단계에서의 중추적인 처리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잡한 동작수행과 관련된 운동명령의 신경전달과 근육의 수축과정의 지연에 의한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약 안구 운동을 통해 말초적인 전달과정의 지연효과를 최소화하고 좌우 30도 수평 도약 안구 운동 과제를 통해 도약 안구 운동의 수를 1도약과제에서 4도약과제까지 증가하여 반응 복잡성의 증가에 따른 반응시간과 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에 재학중인 10명의 남학생이 반응 복잡성이 다른 4조건(1도약, 2도약, 3도약, 4도약)의 도약 안구 운동을 수행하였고, 매 시행 도약 안구 운동 자료는 EOG를 통해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도약 안구 운동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반응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획단계에서 반응요소를 계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를 야기하는 반응 복잡성효과를 재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1차 도약안구 운동의 운동학적 변인들(운동시간, 최대속도, 최대속도시간)는 1도약안구 운동과 다른 3조건들 간에 서로 다른 운동학적 수행 패턴을 보여, 도약 안구 운동수의 증가에 따라 단순히 1도약 안구 운동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더 효율적인 동작으로 재구성되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ponse complexity effect studies have consistently revealed slower reaction times with more complex movements.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questioned whether cognitive processing time is indeed extended by factors such as movement complexity and accuracy. The limb mass involved with movements could be a confound. Eye movements allow research on the same phenomenon without the confounding effect of body mas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ovement complexity effect of eye movements by using electrooculargram (EOG) which can overcome the sensitivity constraint of eye tracking system. Ten participants performed four different eye movement conditions (i.e., moving from a central focus position to a target located at the periphery). A movement complexity effect was identified. Two, three, and four saccadic eye movement conditions took longer to initiate than one saccade. this results confirmed that response complexity effect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time delay involved with response programing stage. Additionally, movement kinematics of first saccadic eye movement revealed that reversal saccadic eye movement with the same movement amplitude caused more efficient reorganization of motor program than single saccadic eye move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도구
  3. 실험과제
  4. 실험 절차
  5.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Ⅲ. 연구 결과
  1. 반응시간(Reaction Time)
  2. 운동시간(Movement Time)
  3. 운동범위(Movement Amplitude)
  4. 최대속도(Peak Velocity)
  5. 최대속도 시간(Time to Peak Velocity)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설정덕(중앙대학교) | Sul Jung-Duk (Chung-Ang University)
  • 김상범(중앙대학교) | Kim Sang-Bum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