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편의 순차적 연구를 통해 대학교 체육수업과 생활체육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척도가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연구모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심리욕구만족 척도의 3요인 구조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타당화 검증단계로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1곳의 대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이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사-재검사 표본으로 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외적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시간 차이에 따른 도구의 안정성도 확보하였다. 연구 2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된 심리욕구만족 척도가 다양한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이론적 가설들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 대인, 단체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자율성 지지와 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욕구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심리욕 구만족은 부모와 친구의 자율성 지지와 동기유형간에 적절히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3은 연구 1과 2의 대학생 표본과는 달리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성인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 심리욕구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욕구만족은 동기와 심리적 웰빙 구인에 정(+)의 직접영향뿐만 아니라 자율성 지지를 경유하여 동기와 심리적 웰빙에 의미 있는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1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a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n Sport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designed to assess the constructs of autonomy need, competence need, and relatedness need in various sports contexts including exercise. I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n=194) and confirmatory (n=218) analyses supported a 15-item solution consisting of 3 factors.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composed of three internally consistent factor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is also supported by correlations with other constructs as postulat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Evidence for extern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temporal stability and exercise style invaria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was found. Additionally, the study 2 examined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which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 sample of 347 participants (male: n=219, female: n=128) from recreational sport club in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l in that perceived autonomy support fosters mor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es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urn, enhanced more self-determined forms of behavioral regulations(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 and decreased more amotivation. The study 3 tested a model of the assumed sequenti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was based on the hypothesized model by Vallerand(1997). The hypothesized mediational role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were also studied. Consequently, basi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direct effect on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exercise and sport contexts contributes to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