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제상호의존성과 팀 소속기간에 따라 조직분위기가 개인만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Team Climate and the Pers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eam Belonging Period and Task Interdepend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 팀 선수들이 인지하는 과제상호의존성과 팀 소속기간에 따라 조직분위기가 개인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연고를 둔 청소년 축구선수들로 중학교 6개, 고등학교 11개 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답변을 한 8부를 제외한 42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삼원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상호의존성 중 팀승리에 대한 믿음이 높고, 선수들이 함께한 시간(팀 소속기간)이 길수록 조직 분위기가 개인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강화되었다. 특히, 조직분위기 구성요인 중 리더특성이 상호의존성과 팀 소속기간 수준에 따라 개인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므로 지도자의 행동유형이 선수 개인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 개인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과제상호의존성, 조직분위기와 같은 구성원 간 내재된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팀 소속 기간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observing how youth soccer team players recognize task interdependence and how the team climate following the team belonging period affects personal satisfaction. Concerning research subjects, a total of 430 students from 6 middle schools, and 11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yungkido and Incheon were selected and among them, the data of 422 students, excluding 8 students who answered insincerely, were finally used.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an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of measurement tool and verified three-way interaction effect through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positive effect to personal satisfaction is strengthened following high faith of team victory and long period of team belonging among task interdependence.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behavior style of leader is decisive variable for enhancing personal satisfaction of player since the characteristic of leader among structuring factor of team climate had an positive effect on personal satisfaction following the level of team interdependence and team belong period. Put above results together, for enhancing personal satisfaction of player, not only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factor like task interdependence, team climate, but also the environmental factor like team belonging period should be consider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팀 소속기간, 과제상호의존성 수준에따라 조직분위기가 개인만족도에 미치는 삼원상호작용효과
  2. 상호작용 그래프를 통한 삼원상호작용효과의 해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정욱(서울대학교) | Jung-Uk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신명진(서울대학교) | Myoung-Jin Sh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성호(서울대학교) | Sung-Ho Kw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