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령초기 여자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 검사의 상대적 중요도 연구: 난이도와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한 탐색 KCI 등재

A Study about the Relative Weighting of TGMD-Ⅱ for Young Girls in Early School Age: A Search through the Index of Difficulty and TGMD-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67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난이도와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한 대근운동발달 구성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난이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실제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해 산출된 원점수와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를 고려한 가중치 점수를 비교 분석하는데 세부목표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뢰도를 나타내주는 일관성 검증, 상대적 중요도, 난이도의 가중치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동기술이 물체조작기술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난이도는 물체조작기술이 이동기술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기술은 홉, 달리기, 갤롭, 립, 슬라이드, 멀리뛰기의 순으로 중요하며 물체조작기술은 받기, 던지기, 차기, 드리블, 굴리기, 치기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에 대한 결과, 이동기술은 홉, 립, 멀리뛰기, 갤롭, 슬라이드, 달리기 순으로 어려웠으며, 물체조작기술은 치기, 드리블, 차기, 받기, 던지기, 굴리기 순으로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분류 수준에서 상대적 중요도 결과, 홉 항목의 ‘땅에 닿지 않은 다리를 추진력을 얻기 위해 진자형태로 흔들어 힘차게 흔든다’가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고, 난이도는 제자리 드리블 항목의 ‘발의 움직임 없이 4회 연속 공을 드리블 한다’가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점수를 바탕으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의 가중치점수를 적용한 분석 결과, 상대적 중요도, 원점수, 상대적 난이도 순으로 평균값이 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에 대한 정보는 학령초기 여자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 할 시 평가 목적에 맞게 세분화된 검사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weighting for an effectiv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n young girls of early school age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ecifically, the professional group on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 was asked to complete the pairewise comparison survey on the relative weighting and index of difficulty. Also, Actual TGMD-2 (AT) was tested for comparing the raw data with data applying the relative weighting (RW) and the index of difficulty (RID). The Data on the consistency index, the relative weighting and index of difficulty were analyzed by using an AHP module in an Excel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comotor skill was more important and easier than object control skill in large classification. Also, the young girls performed superior abilities of locomotor skill in comparison with object control skill in AT. Second, RW in middle classification were in order such as hop, run, gallop, leap, slide, horizontal jump at locomotor skill and catch, throw, kick, dribble, roll, strike at object control skill. RID, however, were in order such as hop, leap, horizontal jump, gallop, slide, run at locomotor skill and strike, dribble, kick, catch, roll at object control skill. Third, in RW and RID of performance criteria 'Nonsupport leg swings forward in pendular fashion to produce force' at hop items was valued the highest and 'Maintains control of ball for four consecutive bounces without having to move the feet to retrieve it' at dribble items was the hardest. Fourt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W and RI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rtly. Fifth, the mean of AT data, RW data and RID data on TGMD-2 were high in order such as RW, AT, and RID. Finally, the results on RW and RID will serve as a fundamental information to support a specific strategy on an assessment purpos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 조사절차
 Ⅲ. 연구결과
  1. 상대적 중요도
  2. 상대적 난이도 결과
  3. TGMD-Ⅱ 검사결과
  4. 실제측정결과와 상대적중요도 및 난이도 가중치점수를 적용한 결과와의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동욱(전북대학교) | Dong-Wook Ha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박동진(전북대학교) | Dong-J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