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비만 관리 관점에서 본 신체활동 장애요인 KCI 등재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from Obesity Management Perspectiv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신체활동 장애요인의 정보를 얻어 나타난 주제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변형근거 이론이 활용되었다. 58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별 반구조화면담, 집단 초점 면담,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항시 비교 방법을 통해 범주화되었고, 이 자료는 요인끼리의 상호관련성이 검토되고 3 가지의 주제로 조직되었으며, 이는 다시 본 연구 자료의 개념적 틀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자와 세 명의 연구보조자들이 일련의 회의를 통해 나타난 개념적 틀을 고찰,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다. 문헌연구와 두 명의 외부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본 연구의 외재적 타당성이 향상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의 주제에 따라 논의되었다. 이들 주제는 선행요인, 동기 유발요인, 제언이었다. 선행 요인은 신체활동에 대한 개인 내적, 외재적 장애요소였다. 동기유발 요인은 신체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개인의 욕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다. 제언 요소는 신체활동을 증진하기 위해 참여자가 규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이다. 결론: 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종합적 접근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신체활동을 위한 제언은 보다 건강한 생활양식을 활성화시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inactivity behaviors and to identify strategies that can stimulate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y. Methods: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barriers to the physical activity and give suggestions to emerged themes, modified ground theory was utilized.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field-note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from 58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transcripts were categori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categories were examined for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and organized into three themes, which were examined for interrelationships to develop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ata. The researchers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reviewed, discussed, and formulated the emerging conceptual framework through a series of meetings. Review of literature and feedback from two experts were incorporated to enhance external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emerging themes: predisposing factors, motivators, and suggestions. Predisposing factors contained personal and external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Motivators included the factors that can activate personal desire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Suggestions were the ideas that participants identified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The research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approach for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Suggestions for physical activity were enabling factors in adopting healthier lifestyle and increased physical activit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자의 입장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결 과
  1. 개인 내 운동 참여 장애요인
  2. 운동참여 외재적 장애요인
  3.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유생열(경인교육대학교) | Seang-leol Y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슬(국민대학교) | Seul Lee (Kookm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