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볼링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의 차이를 규명하고 QE의 탐색구간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숙련성에 따라 숙련자(M=12.2년의 볼링경험)와 비숙련자(M=1.44년)로 구분하였다. 볼링 핀이 10개인 가장 기본적인 상태에서 볼을 굴려 핀을 모두 넘어뜨리는 과제를 10회 실시하였다. 과제 수행 시, 시각탐색의 분석을 위해 시각-동작시스템과 안구 움직임 추적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산출된 자료인 숙련성에 따른 평균 시선고정시간, 시선고정빈도, 시선 영역별 시선고정시간, 시선 영역별 시선고정시간비율, QE와 관련하여 첫 스텝 시작 직전의 시선고정시 공을 놓기 직전의 시선고정시간을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숙련자는 비숙련자에 비해 긴 평균 시선고정시간을 보였다. 둘째, 시선영역별 시선고정시간과 시선고정시간비율에 대하여 핀 영역에서 비숙련자는 숙련자보다 오래 시선을 고정시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에임 스팟 영역에서는 숙련자가 비숙련자보다 더 오래 시선을 고정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숙련자는 에임 스팟 영역에 집중을 많이 하며, 비숙련자는 핀 영역에 집중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볼링 수행에서의 첫 스텝을 하기 직전의 시선고정시간은 숙련자가 비숙련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을 놓기 직전의 시선고정시간 또한 숙련자가 비숙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숙련자는 비숙련자에 비해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각탐색을 나타내며 볼링 수행에 있어서는 숙련자는 에임 스팟에 시선을 오래 고정하며 비숙련자는 핀에 오래 시선을 고정하였다. 따라서 볼링 지도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볼링 학습자에게 볼링 수행 시 핀보다는 레인에 있는 에임 스팟에 집중하고 수행 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준비 동작시의 에임스팟의 시선고정과 공을 놓기 직전의 시선고정을 강조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isual search on expertise of bowling performance.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s (N=10) were assigned to one of the groups defined by expertise levels which were comprised of 5 novices and 5 experts. Task was to throw a bowling ball into 10 bowling pins on a alley accurately. To acquire data on visual search such as average visual-fixation time, visual-fixation frequency, visual-fixation time by visual-region, visual-fixation time rate by visual-region, visual-fixation time just before the first step and visual-fixation time just before releasing the ball, vision-motion system and Dikablis Eye Tracking System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 expertise levels were as following. Firstly, difference of visual-fixation time on expertise lev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ts (M=1.26) had long average eye-fixation time than the novices (M=0.61). Secondly, visual-fixation frequency on expertise leve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ts (M=3.15) had less frequency than the novices (M=3.54).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visual-fixation time and visual-fixation time rate by visual-region on pin and aim spot on expertis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novices (M=1.10, M=24.46%) had long visual-fixation time than the experts (M=0.75, M=1.69%) in pin-region and the experts (M=2.34, M=56%) had long visual-fixation time than the novices (M=0.52, M=10%) in aim spot- region. Fourthly, the experts (M=0.98) had higher the starting time just before the bowler’s first step compared with the novices (M=0.62). Also, the experts’ (M=1.27) visual-fixation time just before releasing the ball was higher than the novices (M=0.22). Conclusion: Bowling experts have an economic and efficient visual search strategy rather than novices. Especially, the expert showed that they focused longer on the aim spots. Thus, the leaders of the bowling need to tell novices to focus on aim sp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