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휴대폰을 활용한 동영상 피드백이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Video Feedback Using Mobile Phone for Badminton High Clear Skills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휴대폰을 활용한 동영상 피드백이 개방운동기술 중 하나인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 학습에(정확성, 일관성)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학습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운동학습 현장에서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연구의 참여자는 20대 여성 26명으로 휴대폰 동영상 집단(8), 시범적 피드백 집단(9), 무 피드백 집단(9)에 무선배정 하였으며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에 대한 습득단계는 3(집단) × 5(분단), 파지단계는 3(집단) × 2(분단)의 요인설계 하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평균반경오차(MRE)와 이원변량 가변오차(BVE)이다. 결과: 첫째, 습득단계에서의 평균반경오차와 이원변량가변오차 분석결과, 분단에 따라 오차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에 따른 주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집단과 시범적 피드백 집단이 무 피드백 집단보다 오차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파지단계에서 분단에 따라 평균반경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 집단과 무 피드백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원변량 가변오차에서 분단에 따른 주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에 따른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 집단과 시범적 피드백 집단이 무피드백 집단에 비해 오차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은 기존의 전통적 방식인 시범적 피드백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을 지닌다고 사료되며 운동학습 현장에서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video feedback using mobile phones affects the learning (accuracy, consistency) of badminton high clearance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open exercise techniques, and to verify the continuity of learning effect on it. additionally,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mobile video feedback in the exercise learning field and to provide basic basis. Methods: Participants were 26 women who were assigned to mobile video group (8), demonstration feedback group (9), and non - feedback group (9). The acquisition phase for badminton high clear technology was 3(group) × 5(Block of trial), and the retention phase was 3(group) × 2(Block of trial)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last factor. The mean radial error (MRE) and bivariate variable error (BV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First, mean radius error and bivariate variable error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error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block of trial.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mobile video feedback group and the demonstration feedback group were compared with non - feedback group the error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Second, The mean radial erro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lock of trial at the retention phase of post - hoc,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video feedback group and the non - feedback group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 effects of bivariate variable error. However, of post-hoc according to group, mobile video feedback group and demonstration feedback group appeared lower error score than non - feedback group.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obile video feedback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traditional method, and it suggest that mobile video feedback can be used as a tool to promote learning in the field of motor learning.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과제 및 도구
  3. 실험설계와 절차
  4. 자료처리 방법
 Ⅲ. 결 과
  1. 평균반경오차
  2. 이원변량 가변오차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상범(중앙대학교) | Sangbum Kim (Chung-ang University)
  • 김승철(중앙대학교) | Seungchul Kim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