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숙련자와 초보자를 비교하여 집단 간에 예측능력과 시각탐색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피험자에게 태권도 동영상을 제시하고 제시된 동영상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숙련자·초보자 각각 5명을 선정하여 총 1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예측 능력으로는 선택반응정확성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고, 시각탐색 전략은 시선고정시간 비율, 시선고정 빈도, 시선이동 수, 신체의 영역별 시선고정위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자 집단과 초보자 집단 간에 선택반응 정확성과 반응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시각탐색 전략에 있어서는 숙련자집단이 적은 시선고정 빈도와 시선이동 수를 나타내었고, 시선고정시간 비율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영역별 시선고정 위치는 숙련자 집단은 허리, 얼굴, 어깨 순서로 주요 시각 단서를 사용하였고, 다리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반면에 초보자 집단은 허리, 어깨, 다리, 얼굴 순서로 시각단서를 사용하였고, 계속적으로 시선을 이동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cipation ability and visual search strategy in Taekwondo expert and novice. Subjects showed the screen with Taekwondo movement image and they were response to Taekwondo movement image. For this study, ten subjec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for this experiment. Among them five were experts (n = 5), and five were novice (n = 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 First, anticipate ability of direction and reaction time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vice group and expert group. Secondly, visual fixation frequency and number of visual movement between novice group and expert group reveled that expert showed less visual fixation frequency , and less number of visual movement. but, The ration of visual fixation tim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Finally, location of visual fixation on 4 body parts between expert group and novice group revealed that expert group showed longer fixation time on waist, head, shoulder in an order of sequence, and paid less attention on legs. However novice showed longer fixation time on waist, shoulder, leg, head in sequence order. Novice's visual fixation were located in a various areas taken all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