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준운동의 개시 후에 목표위치가 변화되는 상황에서 초기 목표지점에 대한 주시점 고정과 변화된 목표지점으로의 주시점 이동이 안구운동패턴과 조준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목표에 대한 주시점 고정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다. 방법: 10명의 오른손잡이 여자 대학생이 피험자로서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는 세 가지 과제조건(목표고정, 주시점 고정, 주시점 이동)에서 다섯 지점에 위치한 목표를 향해 무작위로 각각 10회씩 총 150회의 조준운동을 수행하였다. 피험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눈과 손의 운동패턴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로부터 조준운동과 안구운동의 정확성과 일관성, 그리고 조준운동과 안구운동의 관계를 계산하였다. 결과: 주시점 고정 조건에서, 손과 주시점의 반경오차는 초기 목표지점과 새로운 목표지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새로운 목표에 대한 단속성안구운동의 잠복기는 주시점 고정 조건보다 주시점 이동 조건에서 더 지연되었다. 반면 목표에 접촉하기 전에 주시점이 고정된 기간은 주시점 이동 조건 보다 주시점 고정 조건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고정 조건과 주시점 이동 조건에서는 동작 종료 시점에서의 철필과 주시점 간격이 목표지점 사이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시점 고정 조건에서는 초기 목표지점과 새로운 목표지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조준운동시의 주시점 고정이 사지가 도달해야 할 공간적 좌표를 명시함으로써 손의 운동을 위한 공간적 참조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gaze anchoring during aiming movem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gaze point either fixed on the initial target or moved to the new target on eye movement patterns and aiming accuracy when the target moved to another locations immediately after movement onset. Methods: Ten right hand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They performed a total of 150 aiming movements in 3 task conditions (target fixed, gaze fixed, and gaze moving) toward 5 target locations, 10 trials for each combination of task condition and target location respectively. While subjects performed the task, eye and hand movement patterns were measured from which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aiming and eye movements, and variables representing their relationship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gaze fixed condition, the radial errors in aiming and gaze point in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and new target location. The latency of saccade to the new target was more delayed in the gaze moving condition than in the gaze fixed, while the duration of gaze fixation before target contact was longer in the gaze fixed condition than the gaze moving. While the distance from the stylus to gaze point at movement offset was not different between target locations in the target fixed and gaze moving conditions, it became larg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and new target location increased in the gaze fixed condi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aze anchoring during aiming movements may serve as a spatial reference for the hand to movement by specifying the spatial coordinates where the hand is supposed to r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