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포츠 수행전략검사 2(TOPS 2) 한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KCI 등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2 (TOPS 2)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TOPS의 개선 버전인 스포츠 수행전략 2(TOPS 2)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번역 문항을 개발하고, TOPS 2 한국판의 타당도과 신뢰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TOPS 2는 시합 환경에서 9개의 심리 전략(혼잣말,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 목표설정, 심상, 활성화, 긴장풀기, 부정적 생각, 주의산만)을 평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척도에는 주의산만이 새로운 하위요인으로 추가되었다. 스포츠 심리학과 이중 언어 전문가들이 총 9요인 36개의 시합상황 문항을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해 원본 문항과 비교했다. 또한 총 50명의 대학 운동선수들이 번역된 문항의 의미와 명확성을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했다. 한국판 TOPS 2의 구조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후속분석으로 내적동기(IMI)와 스포츠 불안(SAS)과의 상관분석과 주전여부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28개 문항의 8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본 TOPS 2의 자동적 수행과 활성화 요인의 일부 문항이 단일 요인으로 합쳐져 예비 한국판 TOPS 2는 8개 요인이 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한국판 TOPS 2의 8요인 구조를 지지했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로 이 버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신뢰도 분석 또한 안정성과 내적 일관성에 대한 적절한 증거를 보여 주었다. 결론: TOPS 2의 한국어 버전은 이전 TOPS 버전보다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심리 기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이다.

Purpos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a) develop culturally adapted translated itmes of the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2, an improvement of TOPS, and (b) provide evidenc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OPS 2. Methods: The TOPS 2 was designed to assess 9 psychological strategies in a competition setting (self-talk, emotional control, automaticity, goal setting, imagery, activation, relaxation, negative thinking, distractibility). The measure included a newly added subscale of distractibility. A total of 36 competition items were independently translated by two bilingual experts in sport psychology and English language into Korean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items. A total of 50 university athletes examined meaning and clarity of the translated items and provided feedback. Result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8 factor structures of 28 items. Contrary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TOPS 2, some items from automaticity and activation subscales merged into a single factor, leading to 8 factors in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8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Additional results provided evidence of the version. Reliability analyses also showed adequate evidence for the st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TOPS 2 appears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psychological skills as well as an improvement over the previous TOP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및 도구
  3. 자료분석
 Ⅲ. 결 과
  1. 한국판 TOPS 2의 구인 타당도
  2. 한국판 TOPS 2의 변별 및 수렴타당도 검증
  3. 한국판 TOPS 2의 신뢰도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병준(인하대학교) | Byoung Jun Kim (Inha University)
  • 최마리(인하대학교) | Ma-ree Choi (Inh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