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조직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해 전통적 위계적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내며, 참여적 리더 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통해 동기 와 몰입을 증진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의 일관성을 간과하고, 주로 긍정적 측면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관점을 확장하여, 참여적 리더십이 상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특정 상황에서 이 관계가 부정적일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고자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과 동기부여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와 부하의 특성, 특히 상사의 능력과 부하의 권력거리성향이 참여적 리더십과 상사 신뢰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토하였다. 219명의 설문 데이터를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상사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 쳤으며, 상사의 능력이 높을수록 이 효과는 강화되었다. 반면, 부하의 권력거리성향은 유의미한 조절효과 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참여적 리더십의 효과가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며, 리더십 개발 시 상사의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리더십의 효과를 상황적으로 이해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정 상황에서 참여적 리더십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영향까지 검토하여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한다.
The 81mm mortar barrel is a precision component requiring exact internal diameter measurements, which poses challenges in both machining and inspection using conventional equipment. This study addresses issues related to measurement variability and reprocessing due to inconsistencies in bore measurements along different barrel positions. Using Gage R&R analys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system, particularly its inability to provide consistent and detailed readings along the full barrel length. To resolve these challenges, a revised measuring system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stem, showing enhanced accuracy and reduced errors. The improved system was subsequently applied to the barrel machining process, resulting in quality improvements in the final product.
PURPOSES : The reliability of traffic volume estimates based on location intelligence data (LID) is evaluated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determi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r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database sets. We propose a method that best represents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ctual LID-based traffic volume estimates and the VDS values (i.e., true values) for the same road segment. METHODS : A total of 2,496 datasets aggregated for 1-h LID and VDS data were subjected to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the two datasets. The VDS data were defined as the true values for comparison. Four different statistical techniques (procrutes, 2-sample t-test, paired-sample t-test, and model performance rating scale) were applied. RESULTS : In cases where there is a specific pattern (e.g., traffic volume distribution considering peak and off-peak times), distribution tests such as Procrustes or Kolmogorov-Smirnov are useful because not only the prediction accuracy but also the similarity of the data distribution shape is important.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the reliability of LID-based traffic volume estimation. To evaluat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a paired-sample t-test wa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tha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 of the machine-learning model. However, it is important to set the acceptance criteria necessary to statis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aired-sample t-test varies according to the given problem.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가사분담 어려움, 양육 어려움, 경제 수준이 추 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신뢰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 가족 과 출산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0대~40대 기혼 여 성 2,064명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활용하였 으며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인과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사분담 어려움이 적을수록, 양육 어려움이 적을수록, 사회 신뢰도 가 높을수록 추가 출산에 영향이 있었다. 특히 평균중심화를 통하여 확 인한 사회 신뢰도의 조절효과로 가사분담 어려움과 사회 신뢰도의 상호 작용, 양육 어려움과 사회 신뢰도의 상호작용이 기혼 여성의 추가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가사분담 어려움과 양육 어려움 해소, 사회 신뢰도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했다.
조직사회화의 내용 중 정치적인 측면은 관련 연구가 증가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오랜시간 동안 주목 받지 못했다. 또한 인사조직 분야에서 정치라는 주제는 권력과 더불어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아쉬움이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정치적 요소는 조직의 일원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대인관계 및 소통체계와 관련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정치사회화와 구 성원들의 정서적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대한 관점을 설계하였다. 나아가 조직에 소속되어 성장하는 과 정에서 중요한 역할이 요구되는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한 가설의 실증 분석을 위해 시차 분리가 도입된 직장인 342명에 대한 설문 자료를 활용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조직사회화의 내용 중 정치적 측면은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과 직무성과에 대한 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치사 회화와 정서적 몰입 및 직무성과 사이에서 상사신뢰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를 토대 로 변수 간 유의미한 영향 관계의 고찰과 경영학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HCCP)의 2nd WAVE 3차(2021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기업 근로자 86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조직신뢰와 이직의도,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조직신뢰와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조직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자의 이직의도가 근로 자 개인의 문제를 넘어 조직 내부에서도 중요하게 인지하고 인식의 전환점을 확인할 수 있음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 환자의 자기인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Prigatano 등(1986)이 개발한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PCRS)를 한국어로 번안한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K-PCRS)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PCRS 원 문항에 대해 번역 및 역번역 과정, 사전 이해도 검증, 문항 적합성 검증을 거쳐 K-PCRS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실험군 뇌손상 환자 62명, 보호자 60명, 치료사 6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K-PCRS와 우울증과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 참여자 60명과 참여자 가족 60명을 비교하여 K-PCRS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마지막 요인에서 0.40이상의 요인 부하량이 확인되지 않아, 원척도에서 제시한 4요인을 고정하여 분석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정수준의 적합도를 보여 K-PCRS의 4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K-PCRS와 K-BDI의 상관성 분석결과 K-PCRS의 환자-보호자의 불일치 점수와 K-BDI와의 상관계수는 0.2, 환자-치료사의 불일치 점수와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와의 상관계수는 0.4로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한 변별타당도 분석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K-PCRS 총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5) 실험군의 환자-보호자 불일치 평균과 대조군의 참가자-가족의 불일치 평균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신뢰도 분석 결과 환자용, 보호자용, 임상가용 K-PCRS의 Cronbach α계수는 환자용 0.947이었고, 보호자용 0.946, 임상가용 0.958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K-PCRS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뇌손상 환자의 자기인식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K-PCRS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는 입체시 검사법들의 재현성과 교환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질환과 관련된 진단을 받은 적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20/20 이상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 절이상을 확인한 후 입체시 검사(티트무스, 랑 Ⅱ, 티엔오, 프리즈비 검사)를 각각 하루 이상의 간격을 두고 두 번 검사하였다. 검사 간의 신뢰도 분석은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반복 검사를 통한 입체시 검사의 신뢰도 확인에서 프리즈비 검사(p=0.103, ICC=0.99) 에서만 높은 재 현성을 보였다. 입체시 검사 간의 비교에서는 프리즈비와 티엔오 검사(p=0.358, ICC=0.89)에서 좋은 호환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20초미만의 작은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 또한 42%로 모든 검사법들의 비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 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입체시 검사의 진행은 방문 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좋으나 검사 방법들의 특성에 따라 신뢰도와 호환성이 좋은 입체시 검사와 함께 평가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 프리즈비 검사가 신뢰도와 호환성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검사와 함께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chronicles the evolution of load-sharing parameter estimation methodolog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made by Kim and Kvam (2004) and Park (2012). Kim and Kvam's pioneering work underscored the inherent challenges in deriving closed-form solutions for load-share parameters, which necessitated the use of sophisticated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s. Park's research, on the other hand, provided groundbreaking closed-form solutions and exten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accommodate more general distributions of component lifetimes. This was achieved by incorporating EM-type methods fo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hich represented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the field. Unlike previous efforts, this paper zeroes in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closed-form solutions for load-share parameters within reliability systems. Much like the basic Economic Order Quantity (EOQ) model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real-life inventory systems dynamics, our analysis aims to thoroughly explo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closed-form solutions are valid. We investigate their stability, robustness, and applicability to various types of systems.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aspire to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tential benefits of these solutions. Building on previous advancements, our research further examines the robustness of these solutions in diverse reliability contexts, aiming to shed light on their practical relevance and utility in real-world applications.
It is considered that a skincare shop is one of important places for skincare and beauty care. Due to increasing daily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cently, healthy skin is getting important and more people are visiting skincare sho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and those of reliabi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iming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active management of skincare shop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the data and using SPSS 25.0. conducted a frequency te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t sugges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skincare shop workers and customers is very important for skincare shop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20∼5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SNS를 통한 네일샵의 활용실태 및 SNS 정보 신뢰도와 네일샵 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를 통한 효과적인 홍보를 통하여 고객 만족과 충성고객 확보 및 네일업계의 경영전략에 기여 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SNS를 사용하며 네일샵을 이용해 본 20∼5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최종 403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적 특성에 따른 SNS를 통한 네일샵의 이용실태에서는 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를 통한 네일샵 이용실태에 따른 정보 신뢰도와 SNS 네일샵 선택요인, 네일샵 SNS 활용에 따른 SNS 정보 신뢰도, 네일샵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정보 신뢰도가 SNS를 통한 네 일샵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네일샵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마케팅의 기초 자료 및 네일샵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여 네일 미용 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본 연구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의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총 411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WIN 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비대면 상담 서비스 품질이 고객신뢰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뷰티·화장품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뷰티 인플루언서 비대면 상담 서비스 주요 이용 목적은 연령, 직업, 월 평균 소득에 따른 차이가 있음 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변수 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뷰티 인플루언서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 품질 이 높아질수록 구매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신뢰도가 높아질수록 구매행동 역시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 인플루언서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 품질과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고객 신뢰는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뷰티·화장품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 료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design variables and material properties as well as the external loads concerned with structural engineering are used to be deterministic in optimization process. These values, however, have variability from expected performance. Therefore, deterministic optimum designs that are obtained without taking these uncertainty into account could lead to unreliable designs, which necessitates the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RBDO). RBDO involves an evaluation of probabilistic constraints which constitutes another optimization procedure. So, an expensive computational cost is required. Therefore, how to decrease the computational cost has been an important challenge in the RBDO research field. Approximation models, response surface model and Kriging model, are employed to improve an efficiency of the RBDO.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기반 최적설계(RBDO)에서 성능함수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차원감소법(DRM)을 제안한다. 차원감 소법은 적분직교점과 가중치를 사용하여 1차 신뢰도법(FORM) 보다 더 정확하게 신뢰도를 평가하는 반면 성능함수를 추가로 해석해 야하기 때문에 적분직교점의 개수가 증가하면 효율성이 저해된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기반 최적설계에서 성능함수의 비선형도를 평가하고, 비선형도에 따라 적분직교점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신뢰성 기반 최적설계가 진행될 때 반복마다 적 분직교점의 수를 조절하여 차원감소법의 정확도는 유지하면서 계산의 효율성은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성능함수의 비선형도 평 가는 최대가능목표점(MPTP) 탐색에 사용한 벡터 사이의 각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수치 테스트를 통해 비선형도에 따른 적절한 적분 직교점의 수를 도출하였다. 2차원 수치예제를 통해 개발된 방법이 차원감소법이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의 정확도는 유지하 면서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ustainable die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8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of the study subjects was 4.03±0.72 points for economic responsibility and 3.48±0.81 points for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 awareness of economic responsibi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3.62±0.61 poi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gender. Second, the level of a sustainable diet was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4.06±0.63),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and diet (3.94±0.68),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3.45±0.77), and healthy diet (3.26±0.89).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a sustainable diet, female students had higher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than male students. Third,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responsibility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variables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sustainable diet. Among these,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wareness had the highest influence.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비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윤리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상사 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조직에서 비서는 상사의 업무 수행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사의 리더십은 비서의 창의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직종의 특수성으로 인해 업무 상 많은 정보를 상사와 공유하기 때문에, 비서가 창의성을 발휘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다른 어떤 직종에 대한 연구보다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 로 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및 Hayes(2018)의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비서의 창의성인 영역관련 전문 지식, 창의적 사고기술, 내재적 직무동기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비서의 상사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비서 의 상사 신뢰는 비서의 창의성인 영역관련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기술, 내재적 직무동기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서의 상사 신뢰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비서의 창의성인 영역관련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기술, 내재적 직무동기 모두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 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비서가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 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검증되었고, 이 결과는 인적자원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