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운동 기술 측정 도구로서 Korea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의 유용성 KCI 등재

The Usability of the Korea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to Measure the Motor Skills of Clients With Strok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운동기술 평가방법으로서 Korea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K-AMPS) 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K-AMPS로 분석한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상의 효율성을 확인하였고, K-AMPS의 내용타당도 및 과제 간 신뢰도를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클라이언트 2명의 일상생활동작 과제수행은 효율적이었으나 18명은 비효율적이었다. K-AMPS 와 MFT의 상관관계는 두 검사의 총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나, K-AMPS의 총점과 MFT의 일부 하위 검사의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K-AMPS의 과제 간 신뢰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K-AMPS에서 제시되는 결과 리포트의 장점, K-AMPS와 MFT 간의 낮은 상관관계, K-AMPS의 높은 과제 간 신뢰도를 고려할 때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운동 기술 평가에 있어서 K-AMPS가 유용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sability of the Korea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K-AMPS) in assessment of motor skills of clients with stroke.
Methods :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sks performance from the K-AMPS reports was identified, then content validity and inter tasks reliability of the K-AMPS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From the results, the quality or effectiveness of ADL tasks performance was shown, and the correlation of the K-AMPS and the MF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otal score in both too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AMPS total score and some subtests score of the MF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tasks in the K-AMPS.
Conclusion : To consider the advantages of the K-AMPS results reports, low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the K-AMPS and the MFT, and high inter tasks reliability of the K-AMPS, the K-AMPS can be useful in measuring motor skills of clients with strok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평가 도구
  3. 연구 과정
  4.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AMPS 운동기술 평가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과제 수행 효율성
  2. 환측 상지에서 K-AMPS와MFT의 상관관계
  3. 건측 상지에서 K-AMPS와 MFT의상관관계
  4. K-AMPS 내에서 과제 간 상관관계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헌(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Lee Sang-H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Soonchunhyang University) 교신저자
  • 이성아(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Lee Seong-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Soonchunh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