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변화 단계 모형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운동 행위 단계 요인 조사 -범-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KCI 등재

Factors of Stages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유방암 환자들의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생존한 유방암 환자들을 돕고 보다 빠르게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서 건강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재활 및 건강 증진의 방법으로 운동은 권장되고 있다. 암 환자들에게 운동을 시작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이행,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운동 중재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 인간의 건강 행위는 개인의 의사결정에 기초하며 정서와 인지 및 행위를 포함한다는 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TTM))을 기틀로 하여 유방암 환자의 운동 행위 단계, 변화 과정, 효과와 손실 의사결정 균형의 사용 정도를 파악하고 운동행위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며 각 요인 간 상관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113명 유방암 환자에게 운동 행위 단계는 Procheska와 Diclemante(1983)의 도구, 변화 과정은 Nigg 등(1999)의 도구, 의사결정 균형은 Marcus(1992a)의 도구, 자기효능은 Marcus(1992b)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총 49.5% 에서 운동을 시행한다고 응답하였고 이를 운동 행위 단계별 유지 단계 22.4%, 실행 단계 27.1%이었다. 현재 운동을 이행하지 않는 준비 단계 26.2%, 심사숙고 단계 16.8%, 무관심 단계7.5%이었다. 운동 행위 단계별 인지, 경험적 과정은 실행 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준비 단계 이하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행위적 과정은 유지, 실행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심사숙고, 무관심 단계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유지, 실행단계에서 효과 의사결정 균형이 높게 사용된 반면 준비 단계 이하에서 손실 의사결정 균형이 평균보다 높게 사용되었다.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 또한 유지, 실행단계에서 높게 사용되었고 준비 단계 이하에서 적게 사용되었다. 운동의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위적 과정의 자기해방(p=.000), 손실 의사결정 균형(p=.001) 그리고 유방암 절제시기(p=.003)이었다. 이는 40.3%의 설명력을 보였다. 관련 변수 간 상관성에서 변화 과정, 손실과 효과 의사결정 균형, 자기효능은 서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운동 행위 단계에 따른 운동 중재 구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 보다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ages of exercise, the 10 processes of change, the pros and cons of the decisional balance, and the self-efficacy of exercise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tages of exercise and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Methods: A sample of 113 women with breast cancer was recruited from five medical centers. Each participant completed the followings: the tool of stages of exercise by Procheska & Declemante (1983) the tool of processes of change by Nigg, et al. (1999) the tool of decisional balance by Marcus (1992a) the tool of self-efficacy of exercise by Marcus (1992b). Results: 49.5% replied that they were performing exercise and that they were either in the maintenance stage 22.4% or in the action stage 27.1%. Of the rest, 26.2% replied as being as in the preparation stage, with 16.8% in the contemplation stage, and 7.5%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e experiential processes was used high in the action stage and low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stages before. The behavioral process scored high in the maintenance and action stages and low in the contemplation and pre-contemplation stages.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the action stage, the pros in the decisional balance were used, whereas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before, the cons in the decision-making balance were used more than the average. Self-efficacy was also used highly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the action stage, and less than the average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before. The study identified three factors, self-liberation in behavioral process (p=.000), cons-decisional balance (p=.001) and time of mastectomy (p=.003),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tages of exercise. These three factors accounted for 40.3% of the stages of exercise. All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rocesses of change, the pros and cons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of exercise were correlated. Conclusion: This study will be provided basic data to develop the exercise program accompanying each stages of exercise based on the TTM.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c data of each stage of exercise based on the TTM. Therefore, it is hop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initiation, commitment and maintenance of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order to improve patients' chances for rehabilitation.

저자
  • 한신희(경인여자대학) | Sin Hi Han 교신저자